[철학자와 하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철학자와 하녀 -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마이너리티의 철학
고병권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볍고, 편안하게 읽었으며, 고요한 분위기였으나, 강렬했다.'
 

이 책을 간단하게 논평하면 그렇다. 제목 <철학자와 하녀>가 상징하는 것은, 탈레스의 일화로 설명한다.


 '어느 날 철학자 탈레스는 별을 보며 걷다가 우물에 빠지고 말았다. 이를 본 트라케의 하녀가 깔깔대며 이렇게 말했다. "탈레스는 하늘의 것을 보는 데는 열심이면서 발치 앞에 있는 것은 알지 못한다." (중략)
 

하지만 철학자들은 이 재치 만점의 하녀를 좋아하지 않았다. 철학자들은 그녀를 철학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면서 함부로 말하는 무지한 대중의 상징으로 삼았다.'

 
양자의 이야기에서, 저자는 의미하는 것 같았다. 하녀로 상징되는 것은 우리 일반의 대중이고, 탈레스는 지금의 철학자들을 이야기하는 것, 철학이라는 학문의 난해성으로 인해, 대중은 철학을 오해하고 배우려 하지 않고, 대중에게 지식을 가르쳐야 할 철학자들은, 그런 대중을 무지하다고 이야기하는 현실. 그런 철학자들의 태도 속에는 자신들만의 '학자를 위한 학문'을 꼬집고 있었다.
 

책은 '현대의 하녀(어감이 좀 그런데... 아무튼)'들에게 올바른 철학의 가치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래서 철학의 가치와 철학을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기존의 철학자들과는 다르게, 친근하고, 편안하고 쉽고, 다정하게 다가고 있었다.
 

인문학의 여러 분야 중 가장 어렵고 접근하기 힘든 분야는 누가 뭐라고 해도 '철학'이다. 그런 철학을 배우는 것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과거 블로그 습작에 나 역시 지식의 축척을 위해 철학을 배웠지만 한계가 있었다는 주제를 썼던 것이 기억났다. 책에 나온 올바른 철학에 대한 부분. 철학이라는 것은 앎의 '지식'적 측면보다는 삶의 '깨달음'을 추구해야 한다는 말, 그 말이 참 매력적이었다.
 
나는 어린 시절 조부로부터 동양학 고전을 배웠었다. 동양 철학을 나름 체계적으로 배운 탓에, 철학과의 만남은 오래된 인연이었다. 그 과정 속에서 '철학'이라는 것에 삶의 물음도 구해봤고, 삶의 정신적인 방황을 할 때, 서양 철학에 심취도 해 봤었지만, 모두 다 실패했다. 나의 의식 관념 속에는 '철학'이라는 주제, 그 주제에 접근하는 방법 자체가 잘못됐기 때문이었다. 해답을 찾고, 방황을 빙자하여 철학을 끼고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나는 철학을 진지하게 학습하지 않고, 피상적 지식의 획득에만 열을 올리고 있었던 것이었다. 그 피상적 지식이 탑처럼 높아질 때마다, 나의 자아의 허영은 높아만 갔었고, 나는 오만해져 있었다.
 

허깨비 같은 나의 오만을 깨닫고 나니, 지금까지 얻었던 피상적 지식의 철학은 모두가 허사였다는 사실도 느꼈다. 철학은 이렇듯, 가장 중요한 것이,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 어떤 마음가짐으로 배워야 하는가라는 것에서부터 자신의 '철학'을 세워야 하는 학문이었다. 나는 그 부분이 없었다.
 

책은 이런 철학의 올바른 이해를 잘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저자는 철학이라는 것은 천국에는 필요 없고 지옥에서만 있는 것이라고 한다. 천국은 모든 것이 갖춰진 행복한 시대지만, 지옥은 아니라는 것이다. 지옥 같은 세상에서 더 바르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더더욱 철학을 배워야 하고, 약자일수록 더더욱 선현들의 사고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관점을 달리해서, 이런 뉘앙스의 책은 많이 발간되고 있다. 약자를 위한 책들. 유난히 올해에는 이런 부류의 책들이 많이 발간되고 있다. 가령 예를 들면 자기 계발의 유명한 저술가 말콤 글래드웰의 <다윗과 골리앗>, 그리고 사회학으로 보자면 노명우 교수의 <세상물정의 사회학> 역시 마찬가지다. 그리고 인문학으로 보자면 공원국 씨의 <오자서병법> 이 책 역시도, 고전이지만, 약자가 강자에게 항거하는 해석으로 책을 냈다. 그리고 철학적인 부분에서도 고병권의 <철학자와 하녀>.
 

이런 약자를 위한 해석의 책들이 많이 나온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가, 척박하다는 증거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싶었다. 하나하나 비교를 해 보긴 뭣하다만, 사회학의 노명우 교수의 책 <세상물정의 사회학>의 경우는 사회학자라는 전문가가, 비전문인인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해, 좀 더 대중적이고, 평이한 글쓰기를 지향하여, 썼던 책이다. 다소 어조가 경쾌하고 힘이 있고, 똑 부러진 학자의 문체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고병권의 책은 그와는 다르다. 어체는 여성스럽고 섬세하며, 부드러운 느낌마저도 들었다. 더불어, 노명우의 책은 대중을 위해 눈높이를 낮췄다고 하지만 그래도, 학자라는 것이 티가 날 정도로, 슬며시 현학적 글쓰기를 구사하고 있었지만, 고병권은 그런 부분이 없었다. 깔끔했다. 내려놓고, 좀 더 대중적인 글쓰기를, 감성을 자극하는, 그러나 강력한 주제의식을 불러일으키는 그런 서술법이 특징이었다. 두 작가 모두, 필력의 개성이 대비적이지만, 두 작가 모두 매력적으로 다가왔었다.
 

책의 내용은 간단하다. 철학에 대한 필요성과, 올바른 철학이 가져야 할 이야기 등을 작가의 관점으로 대중에게 이야기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참지 말고, 분노할 때 분노하고, 싸워라.' 이것이 이 책의 모토였다. 책의 뒷부분은, 그런 분노하고 싸우는 사람들, 현대판 하녀들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사람들의 예시를 보여준다. 사회적인 부분, 자본주의의 모순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가장 의미 있게 봤던 것은 원자력에 대한 부분이었다.
 

책은 철학자들의 이야기나 의견 등등을 이야기하며 논의를 이어나가고 있지만, 예술, 그림 등의 예시도 있었다.
 

다 좋지만 몇 가지 책을 보며 들었던 문제점을 지적해보겠다. 일단 이 책의 주제는 철학이라는 부분이다. 학문의 특성상, 인문학 분야는 특히 간학문적인 속성이 있다. 따라서, 학문 간의 관계가 대체로 전문적이라기보단 모호한 속성이 있다. 이 부분은 자연과학과 비교했을 때, 인문학이 더더욱 두드러지는 특징이 아닐까 싶다.
 

처음 이 책의 도입부는 참 매력적이다. 철학과 인생, 철학과 약자들에 대해 이야기를 조용하면서도 임팩트 있게 잘 이끌어나간다. 그러나, 책이 넘어가면 넘어갈수록, '철학' 이야기보다는, '사회'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앞서 말한 대로 인문학의 간학문적 속성에 의거해, 사회 사태 역시도, 철학에 속한다,라고 한다면, 할 말은 없겠지만, 책의 제목과 책의 주제와는 거리가 좀 있는 내용들까지도 보였다. 고병권이 주장하고 있는 의견 자체는 일리 있는 말이고, 숙고를 해 봐야 할 주제들이지만, 책의 전체적인 주제, '철학'이라는 주제에 봤을 때는,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초기의 주제 의식을 유지하며 순수 철학의 주제를 더 끌어와서 설명을 했으면 어떨까라는 아쉬움도 있었다.
 

 또한 이 책을 볼 때에는 세심하게 잘 생각을 해 보며 봐야 한다. 저자는 책의 초반부에서 어떤 '사실'에 대한 부분보다는 '해석'적인 부분에 더 관심을 둔다고 이야기했다. 그럼 이 책 역시 저자가 '철학'을 생각하는 '해석'이라는 점이다. 사람들은 이 책을 보며, 공감을 하고 저자가 '해석'한 책을 보며 '답안'으로 생각할 여지가 높다는 것이다. 이 책은 '모범답안'이 될 순 있어도, '답안'은 될 수 없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잘 생각을 하며 읽어야 한다. 이 책은 저자의 '해석'에 근거한 것이니까, 해석이라는 것은 관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런 책들은 저자의 논의를 무차별적으로 수용하며 독서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생각을 해 나가며 판단을 해 나가며 읽어야 하는 책이다. 가벼워 보이고, 옳은 이야기, 감성을 자극하는 책이지만, 사실 알고 보면 저자의 논의는 다소 강력한 느낌이었다.
 

나는 솔직하게 견문이 좁고, 덜 여물어서 저자의 논지에 대해 아직은 많이 생각을 해 봐야겠다고 잠정적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철학을 대하는 기본 정신에는 공감했고, 많은 울림을 받았다.
 

특히 방황에 대한 저자의 논의가 좋았다. 방황에 대해서, 저자는 '기꺼이 길을 잃고 방황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사람이어야 한다.'라는, 글에서 전율을 느꼈다. 굳이 답을 얻지 않아도 좋다. 방황이라는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는 말이었다. 그러나 나는 생각한다. 이런 위로 어린 말은 생각하며 방황하는 사람에게만 의미가 있는 것이지, 퇴폐와 타락, 그리고 쾌락을 위해 방황하는 생각 없는 방황자들에게는, 어쩌면 그들이 내뱉는 숱한 '변명1'이 되지 않을까도 생각했다.
 

더불어 길이 없는 방황에 대해서, 인용한 루쉰의 편지, 그 초반부의 루쉰의 편지. 길이 없는 상황에서의 '편지'는 내가 전문을 다 타이핑하여, 보관하며 두고두고 보고 있다.
 

다소 가볍고 쉬운 책이지만, 역시 철학을 다룬 책이기 때문에, 가벼운 에세이더라도, 사색을 많이 하면서 봤던 책이다. 따라서 쪽수에 비해 시간을 좀 끌면서, 여유를 부리며 독서를 했던 것이 사실이다. 아 더불어 한 가지를 더 꼽자면, 책에 보이는 그림 삽화들이 참 좋았다. 글과 아주 매치가 잘 되는 그림들이라서, 좋았던 것 같았다. 아무튼 이런저런 아쉬움도 있고, 영감도 받은 책이지만, 가장 매력적인 것은 앞서 말한, 고병권이라는 사람의 글 쓰는 방식. 조용하고 고요하고, 여성적이고, 섬세한 필력임에도 불구하고 돌직구적인 강렬함이 느껴지는 뒷맛. 그것이 아마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