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살아오면서 책과 관련된 기억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온통 책으로 둘러쌓인 박원순 변호사님의 거실과 서재를 보고 놀란 입을 다물지 못했던 일. 

 집에는 더 이상 책을 둘 수가 없어서 근처 텃밭에 콘테이너를 따로 두고  그 곳을 온통 책으로  가득 메우고 계시던 영남대 박홍규 교수님. 

독서는 적독(쌓아놓고 읽음)이라며 나의 책 욕심에 불을 놓았던 대학시절 친구 류동수.  

학생증 뒤에 있는 도서대출란이 모두 차서 교학과에 가서 새로운 학생증을 만들어 달라고 하니  "교직원 생활 20년에 너 같은 놈은 처음 본다"며  의심스러운 눈으로 "너  이 빌린 책은 다 읽었니 ?" (그 때 교직원은 반말로 했다. 자신이 학교 선배라면서 ^^)  하고 묻던 교직원.    

정년퇴직을 하고 나서는 조용히 거실 의자에 앉아 "아달베르트 슈티프트"의 "늦여름"과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로베르트 무질의 "특성없는 남자" 를 읽고 싶다던 내 지도교수 안톤.    

책 이야기가 나오니 어린 시절 시골 중학교에서 있었던 일도 떠오른다. 키 큰 소나무들이 교정을 품고 있는 아늑한 학교로 언젠가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학교"로 뽑힌 적도 있다.  수업 시간에 도서관은 개가실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바로 교장 선생님을 찾아가  " 우리 학교 도서관도 개가식으로 하였으면 좋겠다"고 말하자 당황한 시골 중학교 교장선생님은 알았다며 나중에 우리 담임 선생님을 통해 건의를 하라고 하셨다. (이미 건의를 했는데 ^^) 하지만 졸업할 때까지 도서관은 계속 폐가식이었던 것으로 안다.  

친구에게 빌려온 책을 잃어버리고 애를 태우다 결국 새 책을 사서 주었던 기억도 있다. 친구의 부모님이 그 책을 꼭 받아오라고 했단다. 그 시절 시골 국민학교에서 책 한 권 값은  꽤 비싸서 부모님에게 사실을 알리고 꾸중을 들었던 기억이 난다. 이상하게도 책 제목이 생각나지 않는다. 소위 자유교양이라고 파란색 표지로 여러 위인과 고전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책이 소크라테스였는지 ? 그리스 로마 신화였는지 ?        

배가 고파서 점심을 먹어야겠다.

책과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는 다음 편에 계속 ㅋㅋㅋ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쓰기를 무척 어려워 하는 사람이라  블로그 열풍이 불 때도  

남의 일로 여기고 그냥 지나쳤다.  

내 아이디가 그람인데 "그물에 걸린 바람"의 줄임이다.  

원래는 불가의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을 흉내내어 표표히 살고 싶었는데 ... 

어쩌다 보니 넷(net) 이라는 그물에 걸리고  

연하여 세상이라는 그물에 걸리고  

그래서 참여연대 어느 간사님이  

아이디를 "그물에 걸린 바람"으로 수정하는 것이 옳다고 강력 주장하여  

그렇게 정하게 되얐는디 ... 

"그물"에 방점을 찍으면 세상이 코 앞에 다가오고  

"바람"에 강세를 주면 휭하니 지나가는 느낌을 받는다고 하지만  

"바람"을 "der Wind"로 읽지 않고  "das Hoffen"으로 읽으면  

"바담 풍" 대신 "간절한 기원"도 가능할 터 ...  

하지만  이는 모두 독자가  읽기 나름이고   

우연히 신문에서 "로쟈님의 서재"를 알고  이어서 "파란여우님의 거실" 또한  훔쳐 보다가  

댓글을 달아서 좋은 기를 보내주어야지 생각하야 

 알라딘에 가입하고 이런 "공중의 방"도 마련하니 기분이 참으로 좋수다. ^^  

놀러가기도 하고 놀러 오기도 하는 그런 사랑방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외다.  

이상 그람의 잡소리 한마당.  

이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