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공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공간 공감
김종진 지음 / 효형출판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시대정신을 담는 그릇이 있다면 그것은 어떤 것일까? 단언컨데 그것은 건축이다. 파르테논은 헬레니즘을 상징하고 고딕성당들은 중세를 표상한다. 모더니즘은 콘크리트와 함께 성장했고 지금은 철과 유리의 시대를 관통하고 있다. 점차 우리가 사는 도시와 건축공간이 표피적인 자극을 추종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저자는 우리에게 묻는다. 공간이 우리의 깊은 심연을 건드릴 때 경험은 하나의 의미가 된다는 말을 믿느냐고;;;.

표피적인 자극으로는 결코 의미있는 경험을 주지 못한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그러한 진정한 경험은 어디에서 오는가?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는 인간의 근본적 존재성의 성립을 네가지로 나눴다. 그것은 '땅 위에 있음', '하늘 아래 있음', '신성함을 마주함', '죽음의 운명 속에 살아감'이다. 그것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나는 것이 곧 공간에 대한 경험이다.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것은 그러한 경험의 축적이 있어야 한다. 공간 그리고 건축은 그러한 경험을 담는 그릇이라는 것이다. 모든 경험이 특출하지 않지만 우리는 살다가 놀라운 공간을 가끔 경험하게 된다. 왜 이런 감을 느끼게 되는 것일까?

저자는 그 이유를 다양하면서도 깊이있는 인문학적 소양으로 풀어낸다. 효형출판은 이미 서현이라는 작가를 통해 인문학적인 건축 들여다보기를 성공시킨 출판사다. 이번에 손잡은 김종진은 그동한 효형이 추구한 이미지에서 한 발더 인문학쪽으로 내딛는 내공을 보여준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근간인 건축도 놓치 않고 있다. 이 점이 다소 의아스럽다. 일반독자들에게 건축도면이나 스케치는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사실 저자는 건축학도를 위한 글쓰기에서 출발했음을 고백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책을 보는 방법을 다소 다르게 접근해 보자. 모든 사람이 건축을 전공하지는 않지만 우리 모두는 건축물 안에서 또는 건축물들이 산재한 도시 공간 안에서 산다. 자신이 직접 건축주가 되어보는 놀라운 경험을 하는 이들도 있고 이미 지어진 건물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을 좀 변경해 보는 경우도 있다. 어떤 누구도 건축물 없이 살 수는 없고 세상에 어떤 건축물도 똑 같은 것은 없다. 판박이처럼 만들어놓은 아파트도 사실은 조금씩 다 다르다. 우리는 이렇게 어떤 형태로든 건축물 안과 밖에 연결된 삶을 살고 있다. 그러니 건축을 바라보는 또는 소위 말하는 안목이라는 것에 대해 배워본다던가 이해를 쉽게 할 어떤 길라잡이가 필요한 것이다.

이 책은 몸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다. 오감으로 만나는 공간 그리고 특출할 것도 없는 일상의 공간 경험이 지니는 의미를 작가는 차분하게 설득시키고 있다. 다양한 저널과 전시회를 발표하고 있는 저자 김종진은 공간과 건축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경험’의 가치에 주목하였다. 이 책은 저자의 그러한 경험을 통해 공간 자체에 대한 물음에서 벗어나, 공간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존재와 그 존재의 경험을 탐구하고 있다. 엄마의 품속에서 세상 빛을 처음 보게 된 아이에게 주어지는 첫 ‘공간’부터 빛을 통해 보는 공간, 행위를 통해 연출되는 공간과 건축, 철학, 음악, 미술, 영화 등 다양한 장르와 융합한 공간까지 다양한 공간에서 전달되는 오감을 독자들이 간접적으로나마 경험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자 이제 길안내를 원한다면 책을 집어들라. 당신은 한 장, 한 장 저자가 구성한 길을 따라가다보면 어느새 자연에 교감하는 법, 그리고 공간에 공감하는 법을 체득한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저자 김종진(金鐘振)은 부산에서 태어나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ARCHITECTURAL ASSOCIATION SCHOOL OF ARCHITECTURE)와 미국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건축과를 졸업했다. 뉴욕의 폴쉑 파트너십, 런던의 KPF, 포스터 앤드 파트너스 등에서 일했다. 2004년부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상의 공간 경험이 지니는 의미를 연구하여 그 결과를 다양한 저널과 전시회에 발표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