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에서 빈둥거리다 길을 찾다 - 명문가 고택 편 이용재의 궁극의 문화기행 시리즈 3
이용재.이화영 지음 / 도미노북스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학문은 있지만 현실에 안 나가는 선비가 한량이다. 요즘은 현실감각 없이 빈둥거리는 사람을 한량이라고 하지만 옛 한량들은 현실감각 없는 사람이 아니었다. 세속의 때를 묻히기 싫었을 뿐. 그들이 그렇게 살면서 찾고자 했던 것이 과연 무엇이었는지 찾다 보면 거기에 길이 있고 답이 있다.
- 저자의 인터뷰 서문 중에서

저자 이용재는 건축잡지 쪽에선 선배이기도 하다. 단 한번도 얼굴 마주쳐 본적이 없는;;;. 먹고 살기 힘든 건축잡지 사정은 그 만큼이나 나도 뼈저리게 느꼈던 바다.  나도 건축잡지 편집장 직을 때려 치우고 돈이 좀 되는 건축자재에서 10년 세월을 보냈다. 그 10년 세월을 이용재 선배는 길에서 보냈다. 택시운전수를 하면서 문화기행을 다니고 또 글을 쓰고;;; 그러다가 2007년 <딸과 함께 떠나는 건축여행>이 대박이 나버렸다. 택시기사 5년만에 이뤄낸 성과! 이제 그는 진짜 한량이 되었다. 본인은 한사코 빈둥거렸다지만 이번 낸 <고택에서 빈둥거리다 길을 찾다>에서 보듯 21개의 전국에 산재한 명문 고택들을 찾아다니고 또 책을 만들어 낸 것을 보면 말만 빈둥거린 것이다. 그는 치열하게 자신의 삶과 대면했고 자신의 존재 이유를 길에서, 고택에서 찾아내었다. 빈둥거림을 미학의 경지에까지 끌어 올린 선배에게 박수를 보낸다. 게다가 그의 딸 이화영까지 이번 책에 공동저자로 나서서 이 책의 읽은 즐거움을 배가 시켜 놓았다.

60년생과 91년생, 한 세대라는 간극이 공동집필로 메꿔진듯하다. 도대체 이 맛깔스런 책은 누가 더 기여를 한거유? 암튼 이제 영국으로 디자인 공부하러 간다는 딸에게 이 서평으로 응원 메시지 대신 전한다. 그리고 이제 제주에 낙향해서 선배말처럼 한량으로 살아보려는 나에게 이 책이 너무나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도 아울러 전한다.

21세기 디지털시대에 웬 고택 이야기? 게다가 고택으로 우려먹은 책들도 사실 서점가에 넘쳐나는데. 하지만 이용재는 고루하고 따분하다는 고택에 대한 선입견을 부셔버린다. 그만의 해학적인 글쓰기를 통해서다. 페이지마다 한 두줄로 쓰여진  그의 해학적인 코멘트를 읽어보라. 게다가 촌철살인 같은 그 짧은 단문들이라니;; 생각을 표현하는데 단어 몇개 뿐인 문장의 나열로도 충분한 의미를 전달하는 그의 글쓰기를 보고 새삼 내 잡문이 부끄러워진다. 책에는 일단 사진이 많다. 287페이지나 되니 작은 분량도 아니지만 마치 잡지를 보듯 편한 레이아웃과 글읽는 재미가 만만치 않다. 아무래도 고택투어 전문 여행사도 생겨날 판이다. 

그가 고택을 바라보는 시각은 과거의 유물이 아니다. 그에겐 오래된 미래를 만나는 공간이다. 그가 찾아다닌 고택들은 괜히 명문가가 아니다. 그냥 오래됐다고 고택이 아니다. 저자는 하얀 공간, 무념의 비워진 공간을 꿋꿋한 ‘선비정신’으로 오랜 세월 채워 온 명문가 사람들의 이야기로 채워 넣었다. 그래서 고택에 남겨진 선인들의 삶의 자취를 과거가 아니라, 바로 우리의 미래로 치환시켜 놓았다. 그는 왜 고택에서 빈둥거려 보라고 했을까? 고택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길은, 물론 깨달음은 애써 찾는다고 찾아지는 게 아니다. 선비정신이 깃든 곳에서 마음을 비우고 어린아이처럼 빈둥거리는 것! 그 자체가 새로운 인생체험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나를 돌아보는 시간, 잊고 살던 것들을 새삼 깨닫는 시간이 되지 않겠는가.

그가 만일 고택의 건축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을 냈더라면 그저그런 책이 되어버렸을 것이다. 하지만 대여섯권의 책을 집필하면서 그는 많이 약아졌다. 이제 그는 장안의 지가를 올릴만한 이야기꾼이 되어버렸다. 고택에서 찾아낸 권력과 인생의 허망함, 꼿꼿한 선비의 절개, 학문과 예술, 나눔과 베품 등을 그만의 인문학적 상상력을 동원해 버무려 놓았다. 많은 건축가들이 건축을 인문학의 반열에 올려 보려고 무진 애를 썼으나 감히 말하건데 이용재 선배가 이제서야 확실하게 그 길을 텃다고 말하고 싶다. 물론 그는 설계하는 건축가는 아니다. 하지만 대중들이 건축이란 법규와 재테크의 수단이란 굴레 속에서 헤맬때 그는 건축을 이해하는 방법론을 너무나 쉽게 풀어놓았다. 그것이 공학이 아닌 인문학적인 건축 바라보기의 시작이다. 이제 고택에서 시작했으니 그가 써대야 할 인문학적 건축 바라보기는 그 소재가 무궁무진할 것이다. 더불어 사람들의 건축에 대한 안목, 그리고 건축가를 이해하는 안목이 높아져서 우리네 건축문화의 질이 한결 높아질 걸 생각하니 흐뭇하기까지 하다.    

이 책 서문에 넣은 소설가 이경자의 글에서 한 가지만 고치고 싶다. "건축가 김수근이 건축은 냉동음악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라는 첫 문장이다. 원래는 바흐가 말한 '건축은 동결된 음악'이란 표현인데 김수근 선생이 그리 표현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냉동음악'과 '동결된 음악'은 표현의 미세한 차이가 아닌 것 같다. 건축판의 식자들은 결코 냉동음악이란 표현을 쓰지 않는다. 다음 판에서는 수정했으면 좋겠다. 각설하고 저자는 고택이라는 동결된 음악을 잘 해동해서 맛깔스런 요리로 밥상 위에 올려 놓았다. 독자들은 그저 숟가락만 들면 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니람다 2011-10-04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