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동생의 특별한 염색체 - 남들과 다른 내 동생 특별한가요? 파랑새 인성학교 5
모르간 다비드 글 그림, 이재현 옮김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은 아직까지 어른에 비해 편견이 심하지 않다. 어쩜 없을 것이다. 다만 주변 어른의 반응과 그들의 편견에서 또다른 편견이 형성되는 건 아닌가 싶다. 다운증후군. 예전 생물시간에 염색체가 하나 더 많다는 단순 지식만 습득했었다. 그리고 그들의 모습이 우리와 조금 다르다는 뭐 그 정도의 지식 말이다.




다운증우군의 아이 사진을 보며 나와 다름에 놀랍고 또 혹여 그들 스스로 창피하지 않을까 하는 어리석은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다르게 생각하게 되었다. 마티유가 다운증후군인 동생 클레망을 학교에 데리고 가면서 알게 된 그 가르침 그대로 말이다. 처음 마티유는 남과 다른 염색체를 가진 클레망이 부끄러웠다. 잠시 책 속 표현을 빌리자면 끔직했다. 다른 친구들이 클레망을 보고 놀라거나 다른 시선으로 그를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나이스가 동생을 창피해 하는 마티유에게 알려줍니다. 지금 동생은 전염병을 옮기는 환자도 아니고 다른 아이들과 똑같다는 진실을 말이다.




드디어 마티유는 친구들에게 클레망이 우리보다 사랑의 염색체가 하나 더 가지고 있어 세상 모든 사람을 사랑할 수 있다고 말한다. 슬픈 마음도 치료할 수 있다면서 그의 특별한 능력을 알려 준다.




역시 멋진 결말이었다. 다운증후군에게 사랑의 염색체가 하나 더 있다는 생각. 이 생각으로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형이 된 마티유. 어쩜 여는 광고 카피처럼 생각이 바뀌면 세상이 바뀐다는 아주 심오한 진리가 담긴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아동 청소년 전문 임상심리학자인 조선미 씨가 책 마지막에 조언한 것처럼 남다른 것을 들춰내서 놀리거나 배척하지 말고 이해하고 보듬어 주며 사랑으로 이들을 자신감 있게 자라게 해야 한다는 말보다 더 많은 것을 느끼게 해 준 마티유와 클레망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