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그리스도인 - 그리스도인에게 공부란 무엇인가, 2017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이원석 지음 / 두란노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공부하는 그리스도인 - 이원석 지음 - 





그리스도인에게 공부란 무엇인가


요즘 성경을 계속 읽고, 일대일 제자양육 양육자 심화과정을 공부하면서 느낀것은

정말 그리스도인에게 공부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이 지식쌓기로만 그치면 안되고 머리에서 가슴으로 그리고 행동으로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것을 요즘 깨닫는 중에


공부하는 그리스도인 이라는 책을 읽을 수 있게 되어 정말 기쁘고 반갑다.


그리스도인에게 공부가 무엇인지, 공부가 왜 해야하는지, 무엇을 위한 공부인지

이유와 목적을 분명히 나에게 말해줄 것 같다!


저자 이원석 작가는 고향 사회의 구축을 사명으로 생각하는 문화 연구자다.

특별히 한국사회와 그 속에 자리한 한국교회의 여러 문제의 핵심이 교양의 부재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의 이러한 열정에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 세상의 공부 열풍이 왜곡된 자기 계발의 방편으로 진행되는 면이 있듯이 교회 안의 공부 열풍도 비뚤어진 자기 확장의 일환으로 추구되는 면이 있기에 공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그리스도인은 왜 공부해야 하는가, 공부는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가, 무엇을 위한 공부가 인가 등에 대해 본질적인 물음은 던진다. 이를 토대로 저자는 경쟁 사회에서 위한 공부가 아니라 서로 도와 세상을 섬기고 하나님 나라를 세워 가기 위한 공부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공부의 방향을 바르게 설정하며 우리가 그리스도의 제자로 살아갈 수 있도록 이끌어 줄 튼실한 

가이드를 제시해주고 있다.


<책 내용 일부 발췌>


익힘의 반복


미국의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학자하워드 헨드릭스도 <삶의 변화시키는 가르침>에서 행함으로 변화한다면서 익힘의 원리를 내세운다. 

 '듣는다, 그리고 잊어버린다. 본다, 그리고 기억한다. 행한다, 그리고 이해한다.'

여기서 이해는 진정한 깨달음이며 배운 것을 실행에 옮길 때에 깨달음의 문이 열린다.

우리가 성경을 읽고 공부하면서 듣고, 보고 하는 것을 행함으로 옮겨야 진정한 깨달음이 있는 것이다.

이것이 '행함의 원리' 라고 한다. 우리의 습관을 바로 잡아야 한다.

 '인간은 반복된 행동을 통해서 올바른 목적과 방법을 규정하고 선택하는 실천적 지혜와 도덕적 덕을 닦을 수     있다. 이런 덕을 갖는 사람은 갖가지 상황에서 순식간에 일어나는 감정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


고전의 탐독


우리는 스승을 만나야 한다. 스승을 만날 때에 우리가 살아가는 길을 바로 나아가게 된다.

우리를 위한 최고의 스승은 예수그리스도이시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에게는 또 다른 선생들이 있다.

바로 우리보다 먼저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라 걸었던 믿음의 선배들이다교회 공통체 안에서 수평적인연대와 친교를 논하기 전에 먼저는 교회사의 수많은 성도들을 눈여겨보아야 한다. 그런데 이들에게 배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들 역시 주님처럼 물리적으로 우리 곁에 없는 데 예수님과 복음서의 관계를 생각해 보면, 답은 간단 하고 분명하다. 우리에게 주어진 기독교 고전이 바로 그들과 만나고, 그들에게 배울 수 있는 경로이다.

고전이라고 무조건 어려운 책은 아니다. 얼마든지 쉽게 읽을 수 있는 고전들도 많이 있다. 천로역정,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 하나님의 임재 연습, 영혼의 성 등 이 있다. 따라서 우선 각자에게 잘 맞는 책을 골라서 읽어야 할터이다. 하나님께서 각자에게 심어 주신 영적 성향을 심화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영적인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라도 우리 성향과 다른 유형의 책을 읽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것을 잘 해내기 위해서는 자신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그러면 고전은 우리 내면에 적절하게 말을 건넬 것이고 우리 내면은 날로 풍성해질 것이다.


우리의 공부는 예수님의 사람으로 거듭나기 위한 훈련이다.


공부는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실천하는 것

바른 공부는 바른 행위 이전에 바른 존재를 만다는 것

몸으로 반복하여 익히는 것은 앎과 삶의 간격을 줄이는 것

지도력의 전제는 곧 독서, 그것도 넓고 깊은 독서

함께 하는 공부, 그런 공부가 세상을 지키고 미래를 열어 간다.

우리의 열린 대화 가운데 지혜의 영이 임하신다.


성경과 기독교 고전을 통해 주님을 배우는 것

이는 동시에 공동체 안에서 같이 읽고 함께 나누는 것으로 드러난다.

홀로 읽는 것이 아니라 함께 읽어야 한다.

우정의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독서와 대화가 존재 변혁의 동력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