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모는 자존감이다 - 온전히 나다운 아름다움을 찾는 법
김주미 지음 / 다산4.0 / 2016년 10월
평점 :
온전히 나다운 아름다움을 찾는 법
외모는 자존감이다. - 김주미 지음 -

저자 김주미
마음을 움직이는 이미지 코칭 전문가
감성이미지클리닉 소울뷰티디자인 대표
사람들의 숨겨진 외적 아름다움과 내적자존감을 찾아주는 활동을 하고 있다.
"외모를 가꾸는 일은 자존감을 높이고 스스로를 격려하는 삶의 기술이다.!"
스스로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여성은 자존감이 높고 독립적이다.
외모에 당당할수록 자신을 더 소중하게 여기고 다른 사람들에게 의존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거울 속 자신의 모습에서 만족감을 얻고, 언제 어디서나 당당해지고 싶다면 일정 수준의 외모 관리는 반드시
필요하다.외모에 불만이 많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건강한 자아상을 갖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에서도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기 어렵다. 내면이 한 사람의 태도와 행동을 결정짓듯이, 외모 또한 생각와 태도, 성격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제부터 외모 관리를 '더욱 멋지고 아름다운 나를 만나기 위한 즐거운 여정' 이라고 생각해보자.
외모는 첫 번째로 내미는 명함이다.
이제는 외모도 능력으로 평가받는 시대다. 물론 역서 말하는 외모란 '타고난 이목구비'를 뜻하지 않는다.
'자신의 직업과 위치에 맞게 잘 관리된 모습'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실제로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앨버트 메라비언이 제시한 메라비언의 법칙에 따르면,
상대방의 첫 이미지를 판단하는 기준 중에 말이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7% 불과,
목소리는 38%, 외적으로 보이는 시각적 이미지는 무려 55% 이른다고 한다.
첫인상을 판단하는 요소에서 '외적 모습'이 결정적이라는 의미이다.
우리는 상대방의 외적인 모습이 마음에 들 때 그 사람의 말에 더 귀를 기울이지 않았던가?
최근 외모지상주의에 심각해지면서 외모의 가치에 대해 많은 논란이 오고가고 있지만,
외모가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평소에 외모에 소홀히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1.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이 좋아서
2. 특별히 꾸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3. 외모 관리 방법을 잘 몰라서
4. 귀찮고 피곤해서
5. 시간적이나 정신적으로 여유가 없어서
이 중에 어떤 이유가 있는가?
나는 어릴때는 1번과 2번이었다. 젊은 나이 그 자체가 이쁘다고 생각을 했고,
지금은 30대.. 4번에 해당하는 것 같다.
정말 이 책을 읽는 동안 나를 반성하게 된다.
"현명한 여자는 결코 외모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
이 책은 외모만을 꾸미라고 말하는 책이 아니다.
예쁨과 아름다운은 다르다는 이야기 들려주면서
아름다움은 이미 내 안에 있다. 라고 말해준다.
아름다운 사람, 기분 좋아지는 외모, 매력적인 외모( = 이 모든 것은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이미 내 안에 있는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끌어 올려주는 코칭 역할을 이 책에서 해주고 있다.
그리고 아름다움 결을 만드는 것은 외적 매력뿐 아니라 내적 매력을 가꾸는는 일에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우리에게 설명해주고 있다. 여기서 꼭 빠지지 않는 단어는 독서!!! ^^
책의 후반부 갈수록 실질적인 생활 방식 개선 할 수 있는 부분들을 실어났다.
어쩌면 우리가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일지 모른다.
하지만 머리로는 일찌감치 알고 있었으나 행동으로 쉽게 실천하지 못한 것들이다.
이 책을 읽은 오늘 시점부터 최소 몇가지만이라도 실천해보는 결심을 해야겠다.
외모 관리는 내 삶에 대한 존중이다.
온전히 나를 위한 선택이며, 내가 나를 존중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사실을 마음속에 새기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