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친 날들의 은혜 - 눈물을 보물로 바꾸는 회복의 능력
김은호 지음 / 두란노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물을 보물로 바꾸는 회복의 능력


지친 날들의 은혜   -  김은호 지음 - 





지친 날들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를 위로하시고 일으켜 주시는 회복의 주님을 만나라.


우리 모두가 세상과 다름없이 복 받는 자리는 열광하면서 정작 십자가 져야 할 자리는 누구도 선뜻 나서지 

않는다. 모두가 마음이 상하고 다쳤기 때문이다. 영혼이 지치고 하나님의 말씀에서 멀어져 고만해졌기 때문이다. 믿음의 사람들은 하나님과의 첫 사랑의 회복, 잃어버린 소망의 회복을 통해 주님의 사역에 거룩한 도구로 사용되는 감격을 누렸다. 우리 또한 그리스도와 동행하며 다시 일어서는 꿈, 다시 사랑하는 기쁨을 통해 '회복의 축복'이 있는 그리스도의 자녀가 되기를 저자는 간절히 소망한다.


잃어버린 하나님의 형상을 제대로 회복하라!


새로운 생명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죄로 말미암아 죽은 영이 다시 하나님의 생명으로 거듭나야 한다.

그것은 예수를 믿고 영접하여 그 예수의 생명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하나님과 친말한 사귐 가운데 살아야 한다.

사귐은 사역보다 중요하다. 예수님은 자신을 위하여 음식을 만들며 수고했던 마르다보다 

당신 앞에 앉아서 말씀을 들었던 마리아를 더 칭찬하셨다. 결코 마르다의 행위가 나쁘다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중요것은 수고와 사역보다 주님과의 사귐이 더 먼저라는 거이다.


"이에 열둘을 세우셨으니 이는 자기와 함께 하시고 또 보내서 전도도 하며 귀신을 내쫒는 권능도 가지게하려 하심이러라." (막3:14~15)


예수님께서 열두 제자를 불러 세우신 첫 번째 목적은 "자기와 함께 하시기" 위해서였다. 제자들과의 친밀한 사귐이 먼저였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려면 하나님과의 친밀한 사귐 가운데 살아야 한다.


그리고 우리가 짓는 모든 죄는 하나님께 하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아무리 많은 사람들이 죄라고 해도 하나님이 "죄가 아니다."라고 말씀하시면 그것은 죄가 아니다.

반대로 모든 사람이 죄가 아니라고 해도 하나님이 "죄이다." 라고 말씀하시면 그것은 죄이다.

하나님만이 선악의 기준이 되시며 죄를 심판하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죄를 지으면 하나님 앞에서 죄를 인정하고 그 죄를 회개해야 한다.

죄는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선택한 것을 보면 그 사람의 마음이 어떠한 지를 알 수 있다.

가롯 유다는 은자를 선택했고, 주님은 십자가를 선택하셨다.

당신의 선택은 무엇인가?


인생의 성공과 실패는 선택에 달려 있다.

행복과 불행, 복과 저주도 선택의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사람인 우리는 저주가 아닌 복을, 사망이 아닌 생명을 선택해야 한다.


"보라 내가 오늘 생명과 복과 사망과 화를 네 앞에 두었나니." (신30:15)


여기서 말하는 생명과 복은 동일한 의미이다. 사망과 저주도 마찬가지이다.

우리 앞에 생명과 사망이 있다는 것은 우리 인생에도 에덴동산처럼 생명과 선악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매일 매 순간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가 아니라 생명을 얻는 나무의 열매를 선택해야 한다.

선택은 내가 하는 것이므로 그 선택의 결과의 책임도 내가 져야 한다.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는 가장 탁월한 방법은 

우리의 주인 되신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몸이요, 하나님은 우리의 머리이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