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사실, 꼬리 아홉 여우는 그래 책이야 65
조현미 지음, 안병현 그림 / 잇츠북어린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꼬리 아홉달린 여우는라는 제목에 사람의 간을 먹고 둔갑하는 여우의 이야기인가 상상을 했습니다. 하지만 제목 맨 앞에 사실이라는 단어가 뭔가 다른 것이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주인공 루아가 대출하여 읽는 책에는 바우의 엄마가 꼬리 아홉 달린 여우입니다. 너무 무서워서 읽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하필이면 대출한 책을 반려동물이 루비가 쪼아먹는 바람에 훼손이 되어 다음 내용을 알 수 없어 답답하기만 합니다. 새 책을 사서 확인하고 반납을 해야 하는데 주문하고 배송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거든요.

 

출생률이 줄어드는 시대에 아이를 학대하고 기르지 못하여 버리는 어른들도 있는데 AI가 어린이를 기른다는 반전이 씁쓸하지만 학대와 고통 속에서 자라는 것 보다 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만약 로봇이 부모가 되어서 메뉴얼대로 기른다면 그게 나쁠까? 사실 이성적이지 못하고 감정적이기 때문에 학대가 발생하는게 아닐까? 그런 면에서는 로봇 부모님은 아주 정확하게 정해진 방법대로 아이를 기르겠지요.

 

늘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과제를 수행하게 하는 루아의 부모님이 로봇인 걸 알게 됩니다. 루아는 꽃둥지라는 보육시설에서 살다가 지금의 부모님께 왔기 때문에 파양이 될까봐 두렵습니다. 혼란스러운 마음에 친한 친구 태린이를 찾아갑니다. 태린이는 부모님이 자기를 사랑하시고 자기 부모님도 로봇일지 모른다고 합니다.

로봇의 반응 메뉴얼에도 사랑을 표현하는 엄마의 태도가 있었나봅니다. 엄마의 사랑한다는 말과 품에서 느꼈던 포근함이 있습니다. 루아는 사랑을 받았고 마음을 나누었으니까요. 그리고 가정의 따뜻함을 느꼈습니다. 사랑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입니다.

루아는 엄마가 로봇이어도 사랑이 있으니까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꼬리 아홉 여우는이란 책을 읽고 나서 진정 어린이의 행복이 보장된 세상이 되길 바라며 어린이를 기르는 부모님들에게도, 어린이에게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금길을 지키는 아이 고래책빵 고학년 문고 8
최명 지음, of Linda(최예진) 그림 / 고래책빵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다이어트를 위해 굶는 친구들이 있지요? 하지만 옛날에는 먹을 것이 없어서 나무뿌리같은 것을 끓여 먹기도 했어요.

추수한 곡식은 떨어지고 봄철의 수확은 멀었으니 먹을 것이 없고 추위가 가시지 않아 봄에 굶주림이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했답니다.

보릿고개를 이기고 나가기 힘들었던 시절.

주인공 덕수네도 보릿고개를 겪으며 먹을 것이 없어서 힘든 시간을 지냅니다.

보리가 익어서 먹을 수 있을 때까지 약초를 캐는 아버지가 다치게 됩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아버지 병수발을 하던 어머니마저 쓰러지게 됩니다.

덕수는 가족생계와 배고픔을 이기려고 일자리를 찾아 나섭니다.

특별한 기술도 없고 어린 덕수에게 누가 일자리를 주겠어요?

덕수는 지난 장날, 아버지의 약초를 사 준 황선주를 만나게 됩니다. 사정을 들은 황선주는 덕수에게 기회를 줍니다. 덕수는 일자리를 구해야 가족을 살릴 수 있다는 간절함으로 힘을 보여주기 위해 돌을 들어서 최선을 다합니다. 그 결과 일자리를 구하게 되지요. 비록 부모님께 인사도 드리지 못하고 떠나지만 좋아할 가족을 생각하며 힘을 냅니다.

기회를 잡은 덕수는 소금 배를 타고 낯선 마을과 뱃멀미, 넓은 세상을 만나고 바닷물도 처음으로 맛보게 됩니다.

덕수는 소금 배에서 친절하게 뱃일을 가르쳐주는 쌍가매를 의지하여 힘을 내기도 합니다. 또 까칠하게 대하는 용삼이를 통해서 눈물도 흘리지만 넉넉하고 따뜻한 황선주를 통해서 다른 세상을 배우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고향생각으로 물항아리를 깨트리고 도망하기도 하고 도둑으로 몰리기도 하면서 무섭고 두려운 세상과 만나고 억울한 일도 겪게 됩니다. , 믿고 따르던 쌍가매의 배신을 통해서 어려움도 겪지만, 쌍가매를 믿고 설득을 통해 왜구를 물리치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도 펼쳐집니다.

 

덕수는 소금배를 타면서 봄을 이기는 겨울은 없다.’라고 하신 아버지의 말씀을 생각하며 어려움을 참아내는 인내와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지금은 편리하게 구할 수 있는 흔한 소금은 당연한 것이 아니라 옛날을 살았던 덕수와 같은 이들의 노력과 수고가 있었음을 생각하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빼빼로 데이에 주문을 외우는 걸음의 동시 2
김춘남 지음, 이영환 그림 / 걸음 / 2020년 11월
평점 :
품절


<빼빼로 데이에 주문을 외우는>동시와 첫 만남은 야무지고 올차보이는 여자 어린이가 표지에 떡하니 손을 모은 모습에 관심이 갑니다. 더구나 빨간 머리색에 말괄량이 삐삐가 생각이 납니다.

뒤표지에는 <동시가 나에게 참 좋은 친구이며, 어린이와 나눌 수 있는 나의좋은 몫이다. 어린이들이 내 동시와 재즐재즐 마냥 떠들고 노는 행복한 시간을 누리면 좋겠다.>는 작가님의 바람이 있네요.

작가의 관찰력이 돋보이는 동시에서 나이가 들어 동시집을 손에 든 나에게도 행복한 시간을 줍니다.

평범한 일상과 사물을 관찰하는 작가의 시선에서 따뜻함과 선함을 느낄 수 있어서 읽는 사람도 마음이 선해지고 따뜻해지며 어린이의 마음을 품게 됩니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처럼, 누구나 좋아할 수 있는, 오랜 친구가 되어주는 동시가 될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깨꽃 연가
서동애 지음 / 글라이더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깨는 작은 씨앗이다.

예전에 참깨는 음식에 멋을 내려고 뿌린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주부 생활이 늘면서 그것이 멋을 내는 것뿐 아니라 맛을 바꾸는 재료라는 것을 알았다. 깨보숭이를 음식에 넣으면 고소한 것이 맛을 다르게 한다. 그 작은 참깨를 심고 가꾸며 소중하게 여기고, 아끼는 마음이 보인다.

작은 것을 사랑하며 가꿀 줄 아는 마음은 어떻게 길러진 것일까.

 책을 읽다 보니 생소한 음식들이 등장한다. 풋고추 김치, 풀치, 여름에 먹는 홍시, 우무 콩국, 붕장어국, 바지락 꼬치, 진달래 화전, 낙지 팥죽 등 먹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먹고 싶다는 생각에 앞서 그것을 먹었던 그 시절 정겨운 형제들 속에 나도 있었으면 했다. 넉넉하지는 않지만 사랑이 가득한 가족들 속에, 서로 아끼는 지인들 속에 나도 함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주변에도 가족들과 형제들이 있다는 깨달음도 갖게 되면서 따뜻한 마음을 나누어야지.’ 하는 다짐도 했다.

 <참깨꽃 연가>를 보면서 풍요가 있어서라기보다는 많은 일과 어려움을 이겨낸 작가의 삶의 여유가 보인다.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만족함이 아니라 많은 것들을 보듬어 주는 여유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면서 그런 여유를 가지고 주변을 바라보고 살피는 작가의 따뜻함이 나에게 전해오는 느낌이 들어서 감사한 마음으로 다시 한 번 책을 펼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짜 보물은 뭐지?
이우 지음 / 도담소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들레에 관한 이야기는 참 많습니다. 그런데 화가로도 활동 중인 이우 작가님의 그림을 보면서 읽은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민들레 홀씨인 듬이는 엄마와 헤어지고 여행을 떠나요. 듬이는 여행하면서 엄마가 말했던 자신의 몸속에 보물을 찾아갑니다.

 바람, 햇빛, , 구름, 낙엽, 지렁이, 개미, , 나비 등을 만나면서 보물을 찾아가는 여정이 다양하게 표현이 되어있네요. ‘작고 연약한 듬이가 바람에 날려서 보았을 산과 번개는 저렇게 보일 수 있겠구나!’ 싶은 마음이 들었어요.

 섬세하기도 하고 뭉개진 듯 아련하기도 한 그림 한 장 한 장이 다양한 생각과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바람을 타고, 바위에 부딪히고, 나뭇가지에 걸려 흙담에 내려앉아 낙엽을 이불 삼아 눈보라를 견디는 과정을 겪으면서도 보물을 잊지 않고 찾아가는 듬이. 인생에서 만나게 되는 힘든 역경을 이기고 자기의 길을 가다 보면 보물을 만나게 되겠죠?

 어디에도 없다고 생각했던 보물은 땅속에서, 땅 위에서, 공기 중에서. 모든 것들이 힘을 합하여 보물을 길러내는 아름다운 생명의 성장을 보여줍니다.

 어느 것 하나 가볍게 여길 수 없는 자연의 힘, 순환하는 힘을 깨닫는 그런 동화입니다.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보면서 나눌 수 있는 이야기가 많아서 더욱 좋은 책이라고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