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다는 건, 이런 게 아니겠니!
곽미혜 외 지음 / 모모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0년대 생이라면 이 책 제목을 읽으며 멜로디가 떠올랐을 것이다.

나만 그런가? ㅎㅎ

제목부터 표지까지 말랑말랑하니 위로를 전할 듯한 에세이집이다. 

특이한점은 이 책은 작가들이 한꼭지씩을 맡아 쓰고 엮은이가 따로 있는, 참고로 내가 정말 좋아라하는 방식의 책, 에세이집이 아니라, 지극히 개인적인 일들을 그 일의 진짜 주인공이 사회인의 글솜씨로 채웠다는 것이다.

말 그대로 일상의 기록.

종이책에 대한 나름 엄격한? 기준이 있는 나.

개인의 기록에 해당되는 책들은 그림이나 사진이 있지 않은 이상 전자책으로 내는 것이 옳다는 기준 아닌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

일단 이 기준 자체가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고,

도대체,

전문가의 글과 개인의 기록의 경계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하는

아무도 궁금 해 하지 않을 딜레마에 빠지게 만드는 책들이 있다.

이 책이 그렇다 ㅎㅎ

이 책은 전업작가의 완벽한 허구에 해당되는 소설도 아니고

누군가는 필요할 지식을 전하는 전문서적이나 궁금해 할만한 사항들을 엮은 교양서적도 아니다.

그래도 그 글들은 꽤 짜임새가 있다.

직장에 처음 출근하던 순간의 설레임부터 매너리즘에 빠질락말락하면서도 열일을 해내는 고참이 된 지금의 이야기.

육아휴직을 끝내고 돌아온 직장의 낯설음에 올라오는 설움을 참아내며 육아와 일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는 워킹맘의 이야기.

내가 출근하는 곳에서도 매일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여기 있다.

그걸 이렇게 풀어낼 수도 있구나. 이렇게 감탄하며 읽은 이야기도 있다.

고등학교 백일장 대회에 나온 듯 한 느낌의 글도 있고.

연예인이 내놓는 사진 몇장에 있어보이는 글인척 하는 문장 몇개를 보는 듯한, 내가 보기에는 겉멋만 잔뜩 들은 듯한 글들도 있다.

모두가 멋지고 아름답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내 주변 사람들의 마음을 엿보는 듯한 느낌으로 읽어낼 수 있는 책.

가만 생각 해 보면 어디가서 이런 글을 읽겠는가 싶다.

글을 잘 쓰는 사람들이 모여서 만든 모임이니 당연하겠지만

잘 쓰는, 잘 읽히는 글들이 많다.

글 잘 쓰는 사람들은 자신의 본직업과 상관없이 자신의 문장을 가지고 태어나나 싶은 생각을 하며 마지막 책장을 덮었던 책이다.

직장인이라면 읽으면서, 아 내 동료가 이럴 때 이런 마음이었을 수도 있겠구나 라는 공감을 할 수 있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