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한 물리학 - 거대한 우주와 물질의 기원을 탐구하고 싶을 때
해리 클리프 지음, 박병철 옮김 / 다산사이언스(다산북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원제는

How to make an apple pie from the scratch 이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사과파이를 만들려면 먼저 우주를 만들어야 한다.” 

는 칼 세이건의 말에서 제목을 따 온 것으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어려운 과학 그것도 물리학에 대한 이야기를 쉽고 재밌게 풀어쓰려는 노력이 곳곳에 보이는 책이다.

사실 이 책은 우리가 보통 물리라고 하면 떠올리는 내용들에 대한 책은 아니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가 과학 전반이 아닌 우주에 한정?된 책이듯 이 책 또한 일반적인 물리학에 대한 이야기 보다는 우주 탄생, 즉 빅뱅이라는 천체물리학적 엄청난 사건을 재현하려는, 천문학적인 예산과 인력을 요하는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따라가는, 과학의 한 분야에 한정됐다면 한정된 이야기이다. 

그래서 선택과 집중이 돋보이는 챕터들이 많다.

일단 저자의 위트와 밝은 필체가 한 몫 하는 듯 하다.

읽는 내내 재밌게 헛헛하게 웃어가며 읽어냈다.

과학을 좋아하고 과학과 친한, 말그대로 뼛속까지 과학자의 성향을 여과없이 드러내는 어린시절의 실험 에피소드부터 전세계 과학자들의 로망이라는 스위스 CERN 입성기까지 누군가의 일기를 훔쳐보는 듯 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문제는 과학부분인데

나는 사실 이 저자의 설명이 충분히 친절하다고 생각했다.

이보다 더 자세할 수 있나? 이렇게

하지만 그게 아니더라

고등학교 졸업 후 과학을 배울 일 없이 직장생활과 일상생활을 해 온 사람들은 여기 나오는 단어가 낯설고 힘든 것이 많을 듯 하다. 

그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영역, 또는 이해할 수 있는 영역에서 볼 때 가장 최근의, 우리 과학기술이, 과학지식이 어느 부분까지 보여주는 책이다. 여기서 우리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인류의 과학이라고 좀 거창하게 이야기할 수도 있겠다. 

그래서, 

지금 과학을 열심히 공부하는 고등학생부터, 올해 과학책 하나쯤은 읽고 싶은 사람들에게 권한다.

읽어보자. 그리고 주변에 이과를 졸업한 친구들을 괴롭히며 질문을 하다 보면, 당신이 궁금 하지는 않았지만 막상 알게 되면 놀라운 이야기들을 듣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