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어 프로젝트 - 남자들만 모르는 성폭력과 새로운 페미니즘 푸른지식 그래픽로직 5
토마 마티외 지음, 맹슬기 옮김, 권김현영 외 / 푸른지식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에서, 여동생이 지나가듯 말해준 성폭력 경험에 충격을 받은 오빠가 주변 친구들의 비슷한 경험들을 모아 팩트만 가지고 썼다는 만화책이다. 지난 주에 여동생 집에 놀러 갔다가 아내가 이 책을 빌렸고, 나도 아내의 추천으로 덩달아 읽었다. 프랑스나 한국이나 지금도 우리 주변에서 비일비재한 '남성에 의한 성폭력' 경험담이, 곱씹을 수 있는 이야기가 되어 다시 남성에게 전달되는데 이렇게 많은 단계를 거치게 된다는 게 시사적이다. 남성들이 이 책에 도달하는 게 쉽지 않다는 말이다.

 

프랑스 여성-그 여성의 오빠-책-한국 여성의 번역-내 여동생-내 아내-남성인 나

 

본문에서 모든 남자가 악어로 표현되었다는 점이 프랑스에서도 논란이 되었나 보다. 그 얘기는 저자의 서문에도 나오고 번역자의 후기에도 나온다. 왜 남성 독자들은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에게 감정이입을 하고는 억울해 하냐고. 피해를 당한 여성 입장에서는 모든 남성이 '잠재적' 성폭력 가해자로 보일 수밖에 없을텐데 말이다.

 

나는 책을 읽으면서 내내 아슬아슬 했다. 나 역시 저 '악어'들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알기 때문에 성폭력 가해자가 되고 안 되고는 정말 한 끝 차이라는 걸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나도 모르게 가해자가 될 수 있다, 평소 성인지감수성을 예리하게 벼려 놓지 않으면 무심코 던진 말이나 행동이 여성에게는 비수가 될 수 있다. 물론 이런 내 입장은 반박이 가능하다. '성폭력의 원인을 남성의 타고난 본성 탓으로 떠넘기는 것이냐. 모든 남성이 잠재적 성폭력 가해자란 말이냐. 등등' 모든 남성이 내 생각에 동의하지는 않겠지만 최소한 나는 그렇다. 나는 나 자신을 '잠재적 성폭력 가해자'로 인식하고 내내 조심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