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에서 안전하게 일하며 살기 - 제철소 30년 기술자의 피 토하는 애절한 안전 이야기
이철재 지음 / 두드림미디어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일을 아니지만 우리는 일상생활에서도 항상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 일상에서 일어나는 사고 중에 집안에서 일어나는 사고의 비중이 꽤 많다고 한다. 가장 편안하고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집안에서도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 안전사고는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는 사고지만 안전을 제일로 하며 항상 안전규칙을 지킨다면 사고는 줄어들 것이다. <이 땅에서 안전하게 일하며 살기>에서는 제철소 30년 기술자의 안전 이야기로 안전에 관해 우리는 다시 한 번 생각하고 안전을 지켜야 한다. 안전하게 일하는 노동자, 안전한 일터를 만들고자 하는 이들, 중대재해처벌법 등으로 고민하는 경영책임자들, 우리의 안전한 삶에 작으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철소는 다양한 공정을 하겠지만 고철을 녹여 쇳물을 만드는 일을 하기에 아주 위험하기도 하다. 그래서 더욱 안전이 중요하다.


사고의 대부분은 안전에 관한 무지로 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인만이 아니라 타인까지 다치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많은 재해, 재난 과정에서 안전조치에 대한 사항을 전달받지 못한다. 안전요령을 알지 못하는 이가 비상시에 잘못된 지시를 내리는 것이다. 더 많은 희생자를 초래하지 않기 위해 일반인들은 일상에서 안전수칙을, 작업자는 일터에서 필요한 안전수칙 및 자신이 하는 작업, 자신이 다루는 기계의 안전조치를 알고 안전을 관리해야 한다.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특별한 사고나 재난은 시스템만으로는 대처에 한계가 있다. 그럴 때는 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의존하는 방법이 유효한 경우도 많다. 일터에서도 예기치 못한 돌발상황이 발생한다. 수명이 많이 남아 있어 멀쩡했던 기계 부품이 갑자기 고장이 나기도 한다. 피해도 크지만 겪어보지 못한 상황이라 당황한다. 그래도 안전관리를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하고 안전조치를 잘 한다면 그만큼 일어날 수 있는 사고도 줄어들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둑 신부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27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이은선 옮김 / 민음사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상과 현실을 아우러는 마거릿 애트우드의 작품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둑 신부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26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이은선 옮김 / 민음사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거릿 애트우드라는 이름만으로도 읽어보고 싶은 작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도리와 말썽 많은 숲 1 - 의뢰가 있으시다고요? 초도리와 말썽 많은 숲 1
보린 지음, 밤코 그림 / 문학동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의 해결사 숲토리 초도리의 대활약이 재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도리와 말썽 많은 숲 1 - 의뢰가 있으시다고요? 초도리와 말썽 많은 숲 1
보린 지음, 밤코 그림 / 문학동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토리 초도리는 초록색 모자를 쓴 것 같은 참토리이다. <초도리와 말썽 많은 숲 1>는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재밌는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한다. 어른이 된 참토리는 새로운 숲으로 가 혼자 살아가게 된다. 숲속의 빈 오두막으로 가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다. 참토리들은 숲속의 해결사로 알려져 있고 그런 초도리를 찾아온 의뢰인이 있었다. 숲토리가 숲에 나타났다는 소식을 들었는지 다람쥐 콩쥐가 나타나 초도리에게 졸참나무를 키워달라고 한다. 하지만 초도리는 걱정이 앞섰다. 원래부터 걱정이 많은 초도리였고 콩쥐가 숲토리는 대단하다며 몰랑코 님에게 들었다며 칭찬도 많이 한다. 숲토리가 숲의 해결사라는 말을 듣고 어떤 의뢰일지 걱정을 먼저 한 것이다. 콩쥐는 다람쥐는 도토리를 먹고 살고 있지만 집 앞에 참나무가 없어 도토리를 먹으려면 아주 멀리 가야 했다. 참나무 씨앗이 도토리이고, 도토리를 심으면 참나무가 자랄 것이다. 그리고 다시 도토리가 주렁주렁 열릴 것이다. 초도리는 콩쥐의 이야기를 듣고 도와주겠다고 한다.

콩쥐는 음하하 계곡에 있는 졸참나무의 도토리가 가장 맛있다며 도토리를 줍기 위해 음하하 계곡으로 가자고 한다. 음하하 계곡은 이따금씩 음하하 음하하 웃음소리가 나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자 초도리는 갑자기 음하하 계곡이 무섭게 느껴진다. 어쩌면 도깨비가 나오는 계곡일지도 모른다. 초도리는 겁에 질렸지만 음하하 계곡의 졸참나무 곁으로 갔을 땐 물소리와 바스락거리는 바람 소리가 들려 오히려 마음이 놓였다. 도깨비는 없었던 것이다. 도토리를 주워 가려고 하는데 달팽이 몰랑코가 나타나 도토리 냄새를 맡아보고는 싹을 느리게 틔울거라고 한다. 몰랑코의 도움으로 겨우 도토리를 찾아 땅에 심었다. 그런데 초도리는 계속 누군가 자신을 보고 있는 세눈박이를 느꼈다. 세눈박이는 누굴까? <초도리와 말썽 많은 숲 1>을 다 읽으면 숨은그림찾기를 할 수 있고 초도리가 쓴 숲 관찰 수첩도 읽을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