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시대, 스타일은 바꾸고 스케일을 키워라 - 온오프라인 경계를 넘는 강의와 발표의 모든 것
조벽 지음 / 해냄 / 202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코로나19로 인해 문화 생활을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언제까지 이런 생활을 해야할지 모르지만 이제는 언택트 시대에 적응해야 할 때라고 본다. 처음엔 언택트로 문화 생활을 하는 것이 어색하기도 하고 불편한 점도 있었다. 하지만 어느 시기가 지나고 나니 적응하고 언택트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최근엔 언택트로 인문학 강의도 듣고 콘서트도 참여했다. 오히려 더욱 편리하고 재밌게 즐길 수 있는 것이 언택트 시대의 문화 생활이었다. 이제는 언택트도 점점 발달해 쉽게 어디서든 즐길 수 있다.

​그런데 언택트 시대엔 언택트 시대에 맞는 강의법이 있어야 한다. 언택트 강의는 보통의 강의와는 다른 환경에서 일어난다. 대부분의 강의는 청자와 강사가 한 공간에서 직접 반응을 하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언택트 강의는 뭔가 제약이 많고 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강의법도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언택트 시대, 스타일은 바꾸고 스케일을 키워라>에서는 여섯 가지 강의 기준을 제시한다. 배울 바가 많은 전문성, 현장을 안다는 친밀성, 신뢰를 주는 안정성, 감동을 주는 열성, 선한 영향력으로 누군가에게 기여하고자 하는 진정성, 마지막으로 재미를 주는 창의성이 그 여섯 가지이다. 저자는 그 중 전문성, 안정성, 진정성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필수 요소라고 한다. 강사가 진실해야 청중이 강사를 신뢰하고 메시지를 경청한다는 것이다.

                                   

 

 

 

 

 

청중 중엔 강사의 전문성을 알아본 후 강의를 들으러 오기도 한다. 강의의 주최자도 강사의 이력을 앞세워 전문성을 홍보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강사는 청중에게 자신의 전문성에 대한 확신을 주는 게 중요하다. 전문성에는 옷차림과 정제되게 말하는 모습과 방식도 포함된다. 전문가는 청산유수로 말할 필요는 없지만 말에 조목조목 앞뒤가 맞고 문장에 체계가 있어야 한다. 친밀성은 청중의 심리를 배려해야 한다. 친밀성은 청중에게 아는 척만 하는 게 아니라 실제로 세밀하게 알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경력보다 경험, 이력보다는 매력이 더 필요한 것이다. 강사의 현장에서 청중의 입장이 되어본 적이 있어야만 청중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친밀감은 반말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도 충분히 만들어 낼 수 있다. 안정성과 열성에서는 설렘을 잃지 말아야 한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목소리의 톤이나 말의 속도, 몸동작 등에서 안정성을 찾아야 한다. 강사는 자신이 불안해 보이는 행동을 하는지 확인하고 평정심을 유지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진정성은 강의에 불편하고 직면하기 두려운 부분이 있더라도 일단 강사를 믿고 따라가게 하는 힘이다. 진정성은 느낌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창의성은 재미와 즐거움을 가져다준다. 강의법은 사실 정답은 없다고 생각한다. 상황에 따라 강의법도 수시로 달라져야 하고 매 상황이 다르고 여러 가지 변수가 있기에 정답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