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다 - 허균에서 정약용까지, 새로 읽는 고전 시학
정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역사속 인물들을 보면 세종대왕이 천재라고들 한다. 하지만 조선초기엔 세종대왕이 있었다면 조선후기엔 '정조'가 있다. 정조 역시 천재적인 왕이었고 강력한 카리스마를 가지고 있는 인물이었다. 그래서일까? 정조에겐 유난히 인재들이 많았던 시기였던 것 같다. 인재가 많다기 보다 인재를 알아보고 발굴하고 신분제도에 상관없이 인재를 등용한 것 같다. 지금도 정조가 발굴한 인재들은 찬양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로 이덕무, 박제가, 정약용, 이옥 등이 있다. 이미 유명 문인들이라 많은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이다. <나는 나다>에서는 조선중후기를 대표하는 8인의 문인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허균, 이용휴,  성대중, 이언진 등도 <나는 나다>에 등장하는 문인들이다.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문신인 '허균'은 문장가이자 사상가, 개혁가였다. 허균의 대표작인 '홍길동전'만 보더라도 당시 사상과 얼마나 앞서고 깨인 사상을 가지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허균의 문학 주장을 보면 개혁가의 면모가 잘 보인다. 허균이 말하는 시는 자기만의 목소리가 있어야 하고 사물의 이치와 통하는 깊은 비유가 있어야 한다. 점철성금 '쇠를 쳐서 금을 만든다'고 훌륭한 시는 일상 속에 있다. 좋은 시는 평범 속에 비범을 담고 있어야 한다. 일상에서 끌어왔다 해서 천박라지도 속되지도 않아야 한다 그리고 시는 시시콜콜 다 말하는 데 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허균이 말하는 시에 대해 읽다보면 시조가 바로 허균이 말하는 그런 절제미와 표현미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조선후기의 이덕무는 박학다식하기로 유명했고 엄청난 독서가로 알려져 있는데 이덕무는 시를 좋은 시와 안좋은 시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시와 가짜 시'로 구분했다. 박제가는 시의 맛과 빛깔에 대한 생각이 뚜렷한 시인이었다. 박제가는 맛을 사물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마음을 움직이고 눈을 기쁘게 하기에 충분한 그 무엇이라고 정의했다. 정약용은 시란 뜻을 말하는 것이다. 뜻이 본시 낮고 더러우면, 비록 억지로 맑고 고상한 말을 해도 이치를 이루지 못한다고 했다. <나는 나다>에서는 문장가들의  멋진 문장과 함께 사상까지도 읽을 수 있어 한 권으로 여러 명을 만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안타까운 점 한가지는 당시 문인들이 쓴 글이 한문으로 되어 있어 원문의 묘미는 많이 느낄 수 없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