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의 개혁가, 마르틴 루터 - 500년 전 루터는 무엇을 이루고 무엇을 남겼는가
박흥식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흥식 교수는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다. 그는 독일 괴팅엔 대학교(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에서 서양 중세사를 전공하였다. 그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교회에서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를 총체적으로 바라보자는 의미로 이 책을 집필하였다. 그렇다면 한국교회는 마르틴 루터가 일으킨 종교개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혹시 한국교회가  알고 있는 마르틴 루터의 모습은 역사적 루터가 아닌 신학적으로 채색된 루터 아닐까?

이 책은 가장 먼저 마르틴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Wittenberg) 대학교회 문 앞에 게시한 사건이 과연 역사적 팩트인가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한다. 이것은 사실 한국교회 내에서는 기정사실화된 팩트이다. 대부분의 교회사 책에서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문 앞에 게시함으로써 루터의 종교개혁이 시작되었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흥식 교수는 실제로 루터의 저작을 살펴보았을 때 루터 스스로 문 앞에 95개조 반박문을 게시하였다고 고백한 적이 없다고 지적한다. 오히려 루터의 동료인 멜랑히톤(Philipp Melanchthon)의 저작에서 루터가 그것을 문 앞에 게시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그는 분석하였다. 아마 세계교회나 한국교회는 루터의 기록이 아닌 멜랑히톤의 기록을 더 의존하여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게시한 것처럼 교회사 책을 쓴 것 같다. 즉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라틴어로 집필하여 그것을 마인츠 대주교에게 보낸 것은 팩트지만, 그것을 실제로 공공연하게 게시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문이 제기된다. 물론 박흥식 교수는 루터가 실제로 그것을 게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95개조 반박문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다만 처음부터 루터가 로만 가톨릭의 부패에 대해 전면전을 선포하고, 종교개혁의 횃불을 든 것처럼 역사 책에서 묘사한 것이 그가 보기에 조금은 과장되었다고 말하고 싶었던 것 같다. 

박흥식 교수는 이 책에서 마르틴 루터의 한계를 종교개혁이 현실정치와 타협하고 영합하여, 가장 가난한 농민층을 전혀 대변하지 못하였던 점과 마르틴 루터의 신학적 편협성 그리고 반유대주의 사상을 꼽는다. 박흥식 교수의 비판은 루터의 생애를 살펴볼 때 가장 뼈아픈 비판이다. 그의 종교개혁 사상은 가난한 농민들에게 희망과 위로의 좋은 소식이었지만, 실상 마르틴 루터는 가난한 농민들이 아닌 선제후와 몇몇 정치 기득권을 의지하여 종교개혁을 진행하였다. 즉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은 아래로부터의 개혁이 아니라, 위로부터의 개혁이었다. 바로 이 부분이 마르틴 루터가 실질적으로 종교개혁을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이기도 하다. 잉글랜드의 존 위클리프나 체코의 얀 후스 같은 경우는 그들의 개혁적인 신학을 옹호하고 지지해줄 만한 정치적 스폰서가 전혀 없었다. 따라서 그들의 개혁적인 신학은 확산되지 못하고, 그들의 목숨을 건 개혁은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만약 마르틴 루터가 독일에서 정치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였다면 그는 얀 후스처럼 화형을 당했을 것이다. 그러나 마르틴 루터는 자신을 보호해주는 정치 세력들의 품에 안겨 가난한 농민들을 배척했다. 토마스 뮌처(Thomas Münzer)가 동참한 독일의 농민반란을 마르틴 루터는 경멸했다. 그것은 그가 생각하는 종교개혁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가난한 농민들이 그의 종교개혁에서 배제되었던 것처럼, 기독교의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는 유대인들 역시 그의 종교개혁에서 설자리를 잃었다. 마르틴 루터의 반유대주의는 그 당시의 서양인들이 가지고 있던 보편적 악감정과 다를 바 없지만, 그가 적극적으로 유대인을 박해하라고 책을 쓰고 명령했다는 역사적 사실 앞에서는 과연 그가 생각한 종교개혁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라는 의문이 들기 마련이다. 

저자는 결론 부분에서 마르틴 루터가 저항하였던 중세 로만 가톨릭교회와 지금의 한국교회가 거의 다를 바 없다고 지적한다. 목회자 세습과 교권주의 그리고 천박한 구원론이 한국교회 내에 너무 팽배하다고 그는 보았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해 마르틴 루터를 다시 공부한다는 것은 그의 초월성과 한계성을 동시에 공부한다는 것이다. 그가 과연 어디에서 길을 찾았고, 어디에서 길을 잃었는지 살펴본다면 길을 잃은 한국교회 역시 새롭게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마르틴 루터의 삶을 총체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싶은 독자에게 이 책의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