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imals’ Rights 동물의 권리
헨리 스티븐스 솔트 지음, 임경민 옮김 / 지에이소프트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한여름 복날에는 사람들이 떼를 지어 개고기를 먹는 것이 일반적인 한국의 문화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젊은 층들을 중심으로 개고기를 먹는 것에 거부감을 많이 가지고 복날이라 할지라도 삼계탕을 많이 먹는 것 같다. 물론 개고기 대신 삼계탕을 먹는 젊은층에게 동물 감수성이 더 뛰어나다고 말하기는 뭐 하지만, 외국처럼 개를 식용이 아니라 또 하나의 가족으로 생각하는 젊은이들이 매우 많은 것 같다. 강아지나 고양이를 마치 자신의 아들인 양, 딸인 양 생각하고 자기 자신을 반려동물의 아빠와 엄마인 것처럼 부르는 것도 이제는 더 이상 낯선 일은 아니다. 

이 책은 무려 1892년에 영국의 언론인 헨리 S. 솔트가 동물의 권리를 옹호하면서 쓴 동물권리선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놀라운 점은 19세기 말에 동물의 권리를 옹호하면서 쓰인 책이 이미 꽤 많이 출판되었다는 점이다. 이 책의 본문 이후에는 '동물의 권리에 관한 참고문헌'이 꽤 자세하게 소개되어있다. 서양에서는 이미 수백 년 전에 동물의 권리에 관하여 학문적 논쟁이 시작되었다. 동물의 권리를 중요시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인권 역시 중요시하게 생각한다. 그 반대로 인권을 무시하는 사람들은 동물권 역시 무시할 가능성이 높다. 동물의 권리를 옹호한다는 것은 사람에 대한 관심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는 과학기술의 발달이 산업현장과 농업현장에서의 동물해방을 야기하였다고 말한다. 이는 동물이 더 이상 경제성장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지 않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영혼의 동반자로서 그 신분이 격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으로 그간 동물들의 몫이었던 엄청난 양의 노동이 기계로 대체되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과학적, 기계적 발명이 단순히 상업적인 목적이 아닌 인도적인 목적으로 활용될 때, 삶의 진정한 아름다움에 반드시 적대적일 것이라는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그러한 아름다움을 가꾸는 데 크게 기여하게 될지도 모른다. -57p.

현대사회에서 동물의 권리를 옹호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육식에 저항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물의 권리를 가장 심각하게 박탈하는 것이 바로 인간의 육식이고, 인간의 육식 때문에 공장식으로 닭과 소와 돼지가 사육되어 주기적으로 구제역과 조류독감이 유행한다. 최근에 논란이 되었던 닭 살충제 역시 육식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멀리 내다보면 동물의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한 사건이 아닐 수 없다. 동물의 권리를 옹호한다는 것은 곧 인간의 권리를 옹호하는 것이 될 수 있지만, 여러 가지 경제적 이유와 익숙한 삶의 방식으로 인해 우리가 그동안 누려왔던 모든 것을 동물의 권리 때문에 포기해야 한다는 것은 아직까지 우리에게 쉽지 않은 일로 보인다. 아무쪼록 동물의 권리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보고 싶은 사람에게 이 책의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