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조조전 1 - 농단의 시대, 흔들리는 낙양성
왕샤오레이 지음, 하진이.홍민경 옮김 / 다연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유년 시절은 삼국지와 불가분의 관계다. 나는 초등 학생때 이문열 삼국지와 게임 삼국지 영걸전과 만화전략 삼국지를 모두 좋아했다. 최근에 삼국지 조조전이 모바일로 발매되었을 때, 내가 내 핸드폰에 깔았던 유일한 모바일 게임도 삼국지 조조전이었다. 그러나 몇 년동안 삼국지를 읽을 기회가 없다가 이번에 소설 삼국지 조조전을 읽게 되었다. 소설 삼국지 조조전은 나관중의 삼국지 연의를 조조의 관점으로 재해석한 소설이다. 그래서 그런지 기존에 읽었던 삼국지와는 느낌이 많이 달랐다. 특히 1권에서는 조조의 가정환경과 그가 어릴 적에 겪었던 여러 아픔들이 잘 묘사되어있었다. 조조의 집안은 겉으로는 잘 나가는 명문가로 칭송 받지만, 실상 환관의 가문이라고 손가락질을 받기에, 조조는 자신의 가문에 자긍심과 수치심을 동시에 가진다. 그런 조조는 유년 시절 여러 호걸들을 만나며, 자신의 세계를 조금씩 넓혀 간다. 사실 1권에서는 우리가 기존에 잘 알고 있던 삼국지의 인물보다는 생전 처음 듣는 인물이 훨씬 더 많이 등장한다. 그래서 그런지 조조가 원소와 원술을 만났을 때 괜히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원소 역시 조조처럼 명문가의 자제지만 첩을 통해서 낳은 아들이기에, 출생의 콤플렉스를 가진 인물이었다. 원소는 난세의 인재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무장이 학문에도 능통한 것은 선대의 업적을 지키기 위함이며, 또한 병법에 능통해야만 백성들을 다스리고 옳은 길로 인도할 수가 있네. 그래서 무예를 닦는 자가 학문을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로 크게는 국가의 안위가, 작게는 개인의 영예가 달린 문제라고!”(160쪽) 난세에 영웅이 많이 나는 이유는 그 혼란한 시대에 학문과 무예에 능통한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기 때문이다. 평온할 때는 무예가 필요 없지만, 난세에는 무예가 필요하다. 그런데 전쟁에서는 무예만 있어서는 안 되고 그 무예를 전략적으로 승화 시킬 학문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학문이 이론이고, 무예가 실천이라고 생각한다면 예나 지금이나 이론과 실천에 능한 인물이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가 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속담에 삼국지를 세 번 읽은 사람과 상대하지 말라는 것은 이론과 실천에 능통한 인재들을 경계하라는 옛 선조들의 경고가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