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설계, 초등부터 시작하라 - 서울대 입학사정관이 알려주는 입시 맞춤형 공부법
진동섭 지음 / 포르체 / 202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교육에서 대입은 학생이라면 피할 수 없는 관문이라고 하지만, 그것에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그래서 '입시설계, 초등부터 시작하라'는 책의 제목을 보고 이 책의 내용이 그리 기대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었다. 이미 한국의 과포화된 사교육 상황에 초등부터 대입을 준비하라고 재촉하는듯한 책 제목이 선뜻 마음에 와닿지 않았다.

그러나 이 책은 사교육을 초등학교 때부터 일찍 시키라는 책도 아니고, 대입준비에 많은 돈을 들여야 한다고 말하는 책도 아니었다. 그저 이 책은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학종으로 대입의 결과가 판가름 날 텐데, 학종에 대해 미리부터 고민하고 준비하라는 내용을 담은 책이었다.

이 책의 저자는 서울대 입학사정관을 역임한 진동섭 선생이고, 이 책을 통해 과거와 현재에 대입이 어떻게 변화되었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대입이 변화될지 이야기한다. 소위 학종이라고 불리는 학생부종합전형은 이미 국내 대입에 도입된 지 10여 년이 되었고, 이를 통해 학교 입장에서는 학교에서 실질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좋은 학생들을 선발할 수 있고, 학생 입장에서는 수능의 큰 부담 없이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학종은 처음부터 자신이 어느 진로를 선택할지 확정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수능은 시험 한 번으로 입시가 결정되기에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전공에 대한 탐구가 없이도 점수에 맞춰 대학에 입학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학종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전공에 대한 탐구가 없으면 지원 자체가 거의 힘들기 때문이다.

내 생각에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대입에서 재수생은 수능에 강세를 보이고, 현역은 학종에 강세를 보이지 않을까 싶다. 학종의 선발기준이 학교마다 다르고 학과마다 달라 여러 혼란을 야기해 '깜깜이 학종'이란 말이 있지만, 이 책의 저자는 입학사정관 경험에 비추어 학종의 분명한 기준을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다. 학종에 관심이 있거나, 학종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한 사람에게 이 책의 내용들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입시설계초등부터시작하라 #진동섭 #입학사정관 #학종 #수능 #대입 #스카이캐슬 #대학교 #카이노스카이로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