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망치면 안 돼 - 두이와 체니의 이야기 마노 듀얼 스토리북 6
신혜인 그림, 김선민 글, 이유미 기획 / 마노컴퍼니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아이와 함께 보면서 엄마인 저는 우리 때와 세대가 정말 많이 달라졌구나 하는 것을 느꼈어요

감정을 관찰하고 다른 입장이 되어보도록 이렇게 직접적으로 권유하는 책들은 어린 시절의 저는 보지 못했어요 기승전결의 이야기 속에서 인물들의 갈등과 해결방법에 대해 나라면 어땠을까? 하는 나름의 상상과 학교 교육은 받아보았지만요

성숙한 관계란 어쩌면 문명과는 비례하지 않을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도 동시에 들었고요 우리 때 친구 관계가 더 다정하고 이해타산에 얽히지 않았었지 하는 생각이 바로 들면서요

그러면서도, 이 책을 보면서 관계에 있어서 타산지석으로 삼고 말 것을 넘어서서 내 감정을 분명히 자각하고 상대방의 입장을 헤아릴 수 있는, 인간 관계에서 나만 손해보지 않음 되지 하는 본능적인 즉각적인 예측이랄까, 이것을 넘어설 수 있는 관계 확장의 가능성을 엿보았어요


이 책 아이가 읽어달라고 가져왔어요
저한테 가져오기 전에도 한 번 쓰윽 봤었는지 읽어주는 중에
"엄마, 얘가 못만지게 하고선 나중에 다 쏟았어 흙까지도" 미리 스포도 하고요 ㅋ
엄마가 집안일을 하면 혼자서도 잘 봅니다^^ (이 정도면 아, 이 책 좋아하는구나 엄마는 판단합니다)


10개의 시리즈 중 여섯번째 이야기.
듀얼스토리북(Dual story book)입니다

듀얼스토리북은
하나의 사건을 각각 다르게 경험하는 두 주인공의 이야기입니다.
한 가지 상황을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의 정서적 조망수용능력과 공감능력, 사회•정서해결력 향상을 돕습니다. (by마노컴퍼니)

분명한 목적을 가진 책입니다

하나의 사건, 두 명의 주인공

교실에서 애벌레를 키우기 시작하면서 벌어집니다

늘 늦잠 자던 두이는 애벌레 생각에 설레어하며 학교로 향하고 행여나 애벌레에게 무슨 일이 생긴 건 아닌지 걱정하느라 체니는 잠을 한 숨도 못잤어요
교실에서 애벌레를 가까이에서 보던 두이가 체니의 큰 소리에 놀라서 책상을 넘어뜨립니다
체니는 두이가 저번에 반 친구들이 정성스럽게 며칠 동안 만든 우유팩 탑도 망가뜨린 적이 있었으니 애벌레는자기에게 허락 받고 보라고 합니다

안타깝게도 친구들 모두 체니의 말에 동조합니다

그런데 체니가 애벌레에 마음을 못 놓고 집중을 못해요

운동장에 나가서도 누가 교실에 들어가는지 혹시나 애벌레를 어찌 하는지 감시를 합니다 음 그리고 혼자 들어가서 애벌레를 보다가 실수를 하게 되었을 때에는 애벌레보다는 사람들이 자기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온 신경을 쏟아요

두이는 애벌레가 위급해진 상황에서 침착하게

자기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합니다 그리고 친구들에게 인정도 받게 되지요

그런데 두이는 이 일에 대해서도 누가 관찰 상자를 떨어뜨렸는지 주위에 대해서는 신경을 쓰지 않고 방금 나비가 된 그 나비의 모습을 그려놓는데에 정신이 없어요

스케치북에 나비 그림을 그리며, 체니가 나를 이제 모든 걸 망치는 아이로는 보지 않을거야 라는 안도를 하는 두이와 자꾸 자기를 쳐다보는 것 같은 두이의 모습에 내가 관찰 상자 떨어뜨린 것을 알고 있나 하며 안절부절 못하는 체니의 모습으로 이야기가 끝이 나요

그리고 챕터가 나뉘면서 '깊이 읽기'가 3단계로 진행됩니다

1. 두이와 체니의 대화를 상상하는 활동 (자유롭게 그리고 상상해요)
저희 아이는 책에 바로 뭔가를 그리거나 하는 것이 어색한지 안하려고 하더라고요 ㅋ

2. 두이와 체니가 느낀 감정들(가능한 자세히 발견)
저는 그림책을 읽으면서 아이에게 질문을 잘 안하는데요, 대신에 보통 아이가 저에게 질문을 하거든요
이 책은 읽어주는 사람이 질문을 하게 되어있어요
대답을 순순히 할까? 싶었는데 의외로 생각하면서 대답하더라고요

3. 두이와 체니의 마음 읽기
전문가의 입장에서 아이의 마음을 진단하고 친절하게 격려해줍니다


관계는 갈등을 겪을 수 있지만 지금의 관계보다도
더 깊은 관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항상 열려있다는 것.
그러려면 다름을 인정하고 차이를 존중하는 것에 더해 아끼고 사랑하는 어린이가 되어야 한다는 아이의 자주 부르는 교가가 떠오르면서 어른인 저에게도 손해를 계산하는 관계에서, 방어적인 관계에서 한 발 더 나아가게 하는 것 같아요

내 안에 관계에서 오는 불편함이나 어려움에 대한 모호함을 선명한 시선으로 관찰하고 직면하게 하며 내가 바라는 것을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 같아요 *^^*



* 이 글은 제이그림책포럼에서 주관하는 서평이벤트에 당첨되어 마노컴퍼니에서 선물로 받은 책을 보고 저의 주관적인 생각을 적은 것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예술가다 - 위대한 여성 예술가 15인의 삶 그리고 작품 이야기
카리 허버트 지음, 부키니스트 편집부 옮김 / 부키니스트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책의 작가 카리 허버트는 북극 탐험가의 아버지의 딸로 2017년 역사가이면서 작가인 남편과 '탐험가의 스케치북(Explorer's Sketchbook)을 공동집필했었다고 합니다
유명한 뉴린 대학의 블로그의 글을 쓰신대서 난 그런 대학이름 몰랐는데 뉴린대학이 어디야?
홈페이지를 찾아가서 보았어요 홈페이지 사진을 보니
자연 속에서 작업하는 학생들을 보니 첫인상이 자유로워보이고요, 작가님이 여기 대학블로그에 글을 쓰신다니 작가님도 예술가이시면서 젊은 미래의 예술가들을 위해 알려지지 않은 여성 예술가들을 위한 연구를 하셨고 또 그런 글을 여전히 쓰고 계시겠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책을 보면 이런 구성으로 되어있어요
예술가 이름, 예술가가 한 말, 그리고 카리 허버트가 그린 예술가의 초상화, 그리고 예술가의 삶을 함축한 구절.

이 초상화는 표지에도 있는데요 책 속의 초상화를 찬찬히 보면 카리 허버트작가님이 아주 신경을 많이 쓰셨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리고 가브리엘레 뮌터의 삶을 묘사한 카리허버트의 단어는 푸른시선.
기브리엘레의 그림과 비슷한 배경 속에 초상화가 있어요

한 순간을 이미지로 포착하는 즐거움을 경험한 그녀,
한 순간의 풍경을 재빨리 그린 후 심장이 터질만큼 환희를 느껴요

가브리엘레에게 중요한 계기가 되는 사건의 모습이 카리 허버트님의 그림으로 책 안에 그려져있고요
그녀에게 중요한 도구, 팔레트 칼이 그려져 있어요

속도감있게 그림을 그리고 싶어하는 제자에게 스승인 칸딘스키가 붓 대신 팔레트 칼을 사용하는 법을 알려주었고 덕분에 가브리엘레는 훨씬 더 빨리 색칠하고 극적인 효과를 낼 수 있었어요

이러한 구성은 계속 이어져요
예술가이름, 예술가의 말, 그리고 초상화
의미심장한 배경을 가진 초상화요
그리고 예술가의 삶을 함축한 단어

다른 예술가도 넘겨서 봅니다
다부져보이는 첫 인상.

“1932년에 처음으로 작품에 구멍을 만들었다.
조각 너머의 풍경도 동시에 볼 수 있었다.
조각상이 주변 풍경을 확장하고 드러내 완전히 새롭게 보였다
풍경은 예술의 일부가 되고 예술은 풍경의 일부가 되었다. 바버라는 새로운 언어를 발견한 느낌이었다.

......

바버라는 이렇게 말했다.

'풍경 속에 있을 때 나는 안긴 듯한 편안함을 느낀다.

사람들이 내 조각품을 보고 만지면서 그렇게 느끼면 좋겠다.'

우리는 예술가다, 카리 허버트, 2021, 부키니스트 p.24”

시간을 기울여 애써 만든 자기 작품을 다른 사람들이 만지는 것을 좋아할 예술가는 많지 않을 것 같아요^^
힘이 센 남자나 할 수 있는 조각가라는 편견 속에서 조각 작업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을 좋아했다는 그녀. 그래서 그 소리가 심장 박동과 맥박을 닮에 되었다는 표현이 저에겐 인상적이었어요
바버라는 더 나아가 작품을 연주해 주기를 바라는 아름다운 악기로 여겼어요^^

1950년대 명성을 얻고 현대미술에서 중요한 조각가 중 한 명이 되고, 1965년에는 영국 작위를 받고 전 세계에 그녀의 작품이 전시됩니다

카리 허버트가 그녀의 삶을 표현한 단어 구절은
'아름다운 생각'


원주민 예술가의 삶도 소개되어있습니다
구성에 익숙해지면 조금 더 여유 있게 책을 보게됩니다
잠시 이름을 불러보고
예술가의 말을 읽어보고
그림을 찬찬히 봅니다
카리 하버트 작가님은 왜 이 분의 정면 모습을 그리지 않으셨을까? 아랫입술이 특징으로 보이는 것을 이렇게 표현하고 싶으셨던 걸까?
알록달록한 점들 위로 밝게 보이는 빛같은 표현은 무슨 의미일까? 주름마저도 부드럽고 따뜻해보이게 하는 눈빛과 옷과 머리에 두른 스카프의 문양도 단순하게 보이지 않아요
에밀리 할머니의 모든 것을 그림 하나에 담으시기 위해 노력한 작가님이신 것을 느껴요

카리허버트님의 에밀리의 삶을 표현한 구절,

"꿈의 시대"

꿈?!


호주 북쪽 땅, 메마르고 갈라진 척박한 곳
때로는 비가 오지 않는 혹독한 날씨 속에서도
살아남는 법을 터득한 안마티예레 부족.
부족의 일원으로 부족의 이야기를 계승하는 부족 원로가 된 에밀리.

부족의 이야기란 바로 꿈.


호주 원주민에게 꿈은, 신이 대지와 그것이 품고 있는 전부를 어떻게 창조했는지 설명해주는 것이다
우리는 예술가다, 카리 허버트, 2021, 부키니스트 p.61


대표작품이 나오고요
작업하는 모습.

카리 허버트님은 초상화를 그리면서,
작업을 하는 모습을 그리면서,
에밀리에 대해 글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영감을 얻으셨을것 같아요 그래서 책으로까지 내신 것이 아닐까?
카리 허버트 작가님도 동시에 예술가이면서 말이죠

에밀리의 작품은 클로드 모네나 잭슨 폴락 같은 거장과 비견되기도 한다고 허버트 작가님이 말씀하셔요
유명한 호주 원주민 예술가가 된 이후에도 에밀리는 마을 사람들과 수입을 나누었다고 합니다

예술이란 무엇인가

카리 허버트 작가님은 서두에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사람의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

말로는 표현 할 수 없는 생각과 사상,

감정을 전달하는 언어가 바로

예술이다.

우리는 예술가다, 카리 허버트, 2021, 부키니스트


여러분의 도구는 무엇인가요?

여러분의 삶은 어떤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케노주아 아쉐박 (1927-2013) 행복한 올빼미

바버라 헵웨스 (1903-1975) 아름다운 생각

안나 회흐 (1889-1978) 포토 몽타주

토베 얀손 (1914-2001) 살아있는 예술

프리다 칼로 (1907-1954) 자화상

코리나 켄트 (1918-1986) 하트 팝 아트

에밀리 카메 킁와레예 (1910-1996) 꿈의 시대

야요이 쿠사마 (1929-) 우주의 한 점

가즈리엘레 뮌터 (1877-1962) 푸른 시선

조지아 오키프 (1887-1986) 모더니즘

류보브 포포바 (1889-1986) 미래 그리기

페이스 링골드 (1930-) 퀼트의 역사

암리타 셰르길 (1913-1941) 햇살의 색채

앨마 토마스 (1891-1978) 색의 향연

수잔 빌라동 (1865-1938) 있는 그대로의 삶

우리는 예술가다, 카리 허버트, 2021, 부키니스트


*이 글은 제이그림책포럼에서 주관한 이벤트에 당첨되어 부키니스트 출판사로부터 서적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룡 책 먹는 도깨비 얌얌이 북극곰 무지개 그림책 75
엠마 야렛 지음, 이순영 옮김 / 북극곰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깨비 얌얌이는

경고! 무시무시한 공룡이 들어있음!


이런 경고 따위 무시하고
책 속으로 들어가 책을 얌얌 갉아먹어요
그것도 그냥 책이 아니라 무시무시한 공룡들이 사는 책인데 말이죠

얌얌이의 존재는 공룡에 대한 지식적인 내용에 활력을 불어넣어줍니다

얌얌아, 작고 귀여운 너에게 이 공룡들이 얼마나 거대하고 위협적인 존재인지 알아? 그러니 얼른 피해!

책 먹는 것을 좋아할 뿐 공룡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도깨비 얌얌에게 친절하게 알려주는 내용들은 신빙성을 얻고 그저 지식을 위한 지식이 아닌 얌얌이를 설득하고 생명을 살리기 위한(?) 지식이 됩니다

무작정 정말 위험해가 아니라 이래저래서 위험한거라고!!!!

책을 먹고 찢고 구멍이 나 있고 그 안에 또 다른 이야기가 숨겨져있고 또 그 속에 책이 나오는 구조는 아이들에게 선물 같이 주어지는 요소 같아요

거대한 공룡과 작은 도깨비의 추격전, 그리고 그것을 보며 얌얌이의 안부를 살짝 걱정하며 따라가게 만드는 이야기, 그 가운데 날아다니는 공룡들의 농담은 그 긴장을풀어주는 장치로 저에게 다가왔어요

진중하고 복잡한 엄마의 시간 속에서 그런 의무를 갖고 살림하는 엄마에게 끊임없이 놀자, 놀자 하는 아이의 모습이 생각나면서 어쩌면 엄마의 삶에 활력을 주는 건 읽을 만큼 다 읽었어 하는 책탑이나 반짝반짝 빛나는 주방과 얼룩과 머리카락 한 가닥 없는 바닥이 아닌 그저 엄마와 좋은 것을 함께 하고픈 아이의 존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얌얌이를 한입에 삼켜버린 티렉스를 보며

“엄마 설겆이 안 하면 저녁 먹어야하는데
저녁할 자리도 없고 저녁 해도 담을 그릇이 없어!!”
매몰차게 아이의 바람을 묵살해버리는 제 자신이 보이고요

티렉스가 얌얌이를 뿜어내는데 얌얌이의 생생한 표정을 보면
그런 엄마의 일축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혼자 노는 듯하다가 또 조금 지나면 놀자, 놀자 ㅋ 하는 아이의 생생한 표정이 떠올라요

다음 이야기는 또 어떤 이야기일까요?

얌얌이? 궁금했다가 얌얌이의 생사를 확인하다보면 공룡에 대한 지식을 덤으로 얻게 되는 요상한 책^^

아이들이 좋아하는 공룡에 대한 지식을 이렇게 전달하다니......

엄마는 또 새로운 작가님을 만나게 되어 또 반갑고요, 아이는 혼자서도 이 책을 본답니다^^

* 이것은 제이그림책포럼에서 주관하는 이벤트에 당첨되어 북극곰 출판사가 제공한 서적을 선물로 받아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 여름 캠프다 우리학교 그림책 읽는 시간
마틸드 퐁세 지음, 이정주 옮김 / 우리학교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순한 아름다운 환타지 그림책은 아니었습니다
읽을수록 질문들이 생겨났다 이거 무슨 그림책이야?
“프랑스에 이런 마을이 진짜 있을까?”
“뒷표지는 기찻길인데 앞표지의 이동 수단은 왜 기차가 아닐까?”
“최신식의 기차가 떠났는데 알리스가 도착한 곳의 선로에는 왜 잔디가 있을까?”
“왜 곰 선생님이야? 친구들도 다 동물인 이유가 있을까?”
“성은 왜 으스스해 보일까? 아이들은 물론 즐기고 있지만.”
“알록달록한 지붕들의 마을은 진짜로 있을까?”
“저 기이한 동물들은 의미가 있을까?”
“할머니의 정체는 뭘까? 마귀할멈 아니야?”
“편지를 주고 받는 이유는 뭘까? 우체부가 아닌 동물이 편지를 전달하는 이유는 뭘까?”

하나하나 답을 찾기 시작했어요

프랑스에는 정말 많은 아름다운 마을들이 있었어요
(아름다운 마을 선발대회도 한 해 6,7월 프랑스 국영TV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되고요 홈페이지도 있습니다http://www.france-beautiful-villages.org/en)
작가님이 주라산으로 캠핑을 간다는 정보를 인터넷에서 보곤 분명 이 주위 마을에 영감을 받으셨을거야, 내가 가진 의문이 조금은 풀릴지도 몰라 라는 기대를 갖고 주라산 주변으로 이 책과 비슷해보이는 마을을 찾으려고 사실 시간을 들여보았어요 나름 비슷한 마을도 찾아보았고요 그런데 차츰 알게 되었어요 진짜 마을을 찾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프랑스의 그 많은 마을들이 수많은 침입과 대립을 겪어내었으며 그 가운데 마을을 지키기 위한 사연들로 지금까지 왔다는 것을. 역사를 기억하고 보존하기 위한 사람들의 노력으로 당시에는 슬프고 괴로운 일이었을지언정 지금은 축제로 역사를 회고하고 격려하며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려는 사람들의 흔적들을 보았습니다
어쩜 와! 여름캠프다! 에서 느낀 마을의 괴이함은 거친 세파를 겪으며 환상을 통해서라도 성과 마을의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이 표현된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스쳤어요
현대식 기차가 출발했는데 도착한 곳은 옛날 철로인 것은 우리를 옛날 프랑스의 기차가 다녔던 마을로 초대하는 것이라고 느꼈어요

저는 지금도 여전히 프랑스의 중세를 찾아다니고 있습니다
(책으로요 중세의 역사와 미술, 동물에 대한 책들을 보게 되었어요)

실제로 프랑스의 아름다운 마을들에서 방학을 이용한 캠프들이 진행중인 성들도 많았고요, 마을마다 음악, 미술 축제들이 가득했어요

뭐 이런 책이 다 있을까요?

저도 당황스러웠어요

하지만 즐겁습니다

프랑스의 작은 마을에 가고 싶냐고요?

그런 대답을 원하셨다면 전 아니예요

제 물건에 대해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배워요

제가 살아가는 집과 우리의 물건들에 대해 다시 돌아봅니다.

(출판사로부터 서적을 제공받아 서평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랑이 바람 우리 작가 그림책 (다림)
김지연 지음 / 다림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를 활짝 펼치면 뒷표지에 날아오는 작은 새.
곳곳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새의 시선으로 산과 아이를 보아도 뭔가 뭉클함이 몰려오는 책......
새가 없는 장면이 딱 두 군데 있는데 그 때 새는 뭘 하고 있었을까 상상해보노라면 입가에 떠오르는 미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