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픔장애재활클리닉
한차현 지음 / 박하 / 2014년 5월
평점 :
고나 자살 등의 원인으로 사망한 사람들은 모두가 슬퍼해주지만
그 곳에서 살아난 사람들과 남은 유가족에 대해서는 그다시 슬퍼하거나 보듬어주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아주 최근의 세월호와 부산 외고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사람들은 이 곳에서 살아난 사람들과 유족들에게 의례적인 위로의 말은 커녕 가십거리마냥
여기저기서 몰려와 이야기를 캐내고 혹자는 선동당한 빨갱이들이 난리친다, 라고도 표현해대며
그 누구도 이들의 고통을 만져주려 하지 않는 것을 우리는 이미 tv나 인터넷을 통해 알고 있다.
슬픔장애재활클리닉은
집단 자살에서 유일하게 살았던 여자 성이연
죽은 자들의 유족 혹은 자살미수자들을 위로해주는 직업을 가진 남자 한차연
자살을 원하나 혼자 가기는 무서운 사람들을 위해 죽기 직전 옆에서 이들을 죽음으로 인도해주는 여자 원형이
주 축이 되어 이야기가 진행이 되는데,
전체적인 줄거리는
장례식장에서 처음 본 여인(원형)이 손혜진을 닮았다는 이유로 호감을 느낀 차연은 같은 인물을 위한 장례식장
에서 밤을 샌 기념으로 아침이나 같이 먹자고 하며 친해지고,
그 후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집단자살 현장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생존자이자 자신의 위로고객 대상이었던
이연이 원형이 이번에 맡게 된 자살 인도자임을 알게 된 후 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야기이다.
세계 OECD 자살률 1위, 한국.
지금 이 시간에도 어딘가에선 자살 시도가 이루어졌고, 이루어지며, 이루어 질 것이다.
자살을 결심한 사람들에게 '남은 사람은 어떻게 하라고' 내지는 '죽을 용기로 살아' 이런 말들은 들리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이미 죽기 위해 인생 최대의 용기를 낸 상황이며 또한 남은 이들에게서 어떠한 위안도 느끼기는 커녕
내가 죽어야 편안해 질 사람들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하지만 그 사람들이
슬픔보다는 그 슬픔에 매몰되어 있는 자신에게 관심을 제공하며 단순히
잘자, 혹은 생존신고.....와 같이 별 의미 없는 인사만이라도 좋으니 스스럼 없이 언제 어느때라도 좋으니 연락해서
이야기를 나누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안다면 자살 예정자들에게도 당장은 죽지 말고
잠시만 더 살아볼까, 라는 마음이 들게 해주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