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어떻게 쓰는가 - 글로 먹고사는 13인의 글쓰기 노하우
김영진 외 지음 / 씨네21북스 / 2013년 3월
평점 :
글을 쓰는 일은 어렵다.
늘 첫 글자를 시작할 때면 자판 위에서 손가락이 굳어버린다.
이 책을 봤을 때 무척 반가웠다.
참으로 많은 종류의 글쓰기책을 읽어왔지만,
한 가지 노하우를 배웠다 싶으면 또 다른 길목에서 막힌다.
'글쓰기 관련 책'들을 하도 많이 읽어서
가끔은 내가 글을 쓰기 위한 영감을 얻기 위해 책을 읽는 건지
글쓰기에 관한 자료를 모으려고 책을 읽는 건지 헷갈리기까지 한다.
13인의 글쟁이 얘기를 묶은 책이다.
각각에 대한 호감도를 떠나서
내 생활과 직결된, 또는 내가 하고 싶어하는 일과 긴
밀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읽었다.
하나는, 기사 쓰기다.
한겨레 안수찬 기자는 문장을 '끊어 치란다'.
무조건 짧게. 이렇게.
끊어 치기는 만병통치약이다.
감동적인 연애편지를 쓰고 싶은가. 끊어 쳐라.
괜찮은 소설을 쓰고 싶은가. 끊어 쳐라.
사람들의 뇌리에 기억될 기사를 쓰고 싶은가. 당연히 끊어 쳐라.
십수번 끊어 치라는 말을 듣고 나니 어느 정도 뇌리에 박힌다.
끊어칠 것. 명심해야겠다.
독자에게 상황을 설명하지 말고, 독자를 그 상황에 밀어 넣으라고 말한다.
"그는 슬펐다'가 아니라 "그는 눈물을 흘렸다"라고 보여주어야 한다.
디테일을 꼼꼼히 챙기고 독자를 안내할 것.
보여주자. 얼마나 간단하고 쉬운 말인지.
이제까지 설명하고 이해시키려고 머리를 쥐어뜯어 온 게 후회스럽다.
평범한 사람의 평범한 말 속에 훌륭한 문장이 숨어 있다는 사실도 명심해야 한다.
멀리서 찾지 말고 가까이서 구할 것, 생활의 기본이기도 하다.
두 번째는, 카피 쓰기. 카피라이터 손수진이 이야기한다.
- 카피라이터에게 자신만의 문체는 필요 없다.
자신만의 생각과 발상이 필요할 뿐이다.
- 카피를 잘 쓴다는 것은 유혹을 잘 한다는 것이다.
- 카피라이터는 두 명의 '갑'을 모시고 있는 '을'의 신세다.
- 대부분의 카피라이터는 다른 카피라이터를 비롯한
세상의 모든 '라이터(writer)'들을 질투한다는 사실이다.
어제 새로 '온에어'된 저 광고 카피를 내가 썼다면
저렇게 멋지게 쓰지 못했을 것 같아 부러워 죽을 것 같고,
시를 읽으면 내가 쓰는 카피는
속물적이고 얄팍한 글자에 불과한 것 같아 부끄럽고,
소설을 읽으면 저렇게 치밀한 구성과
아름다운 문장을 만들어내는 소설가가 천재 같고,
잡지를 읽어보면 젊은 에디터들의 재기에 속이 부글부글 질투가 난다.
칼럼을 읽으면 내가 쓴 카피 너무 유치하고 쓸모가 없는 것 같고,
만화를 보면 이런 기발한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사람이 이렇게 많은데
'아마 난 안 될 거야'라며 머리를 감싸고,
영화를 보면 내가 쓴 카피는 지나가는 엑스트라의 한마디보다도 평범하다.
고로? 열심히 읽고 보고 질투하시라.
이 모든 질투가 더 나은 카피를 고민하게 만든다.
세 번째, 동화 쓰기는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김중미 작가가 얘기한다.
나는 이 글을 읽으면서 뭐 하나 화려하고 특별한 문장도 단어도 없는데,
마음을 꾹 누르는 묵직한 감동을 받았다.
글은 말이 아니라 삶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았다.
나는 글보다 앞서는 것이 삶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들의 삶, 오늘의 아이들이 살아가는 사회의 현실을
정확히 보지 못한다면
어린이문학이든, 청소년문학이든 가능하지 않다.
이 말이 마음 깊숙이 와 박히는 건 작가가 그처럼 살아냈기 때문이다.
카피를 쓸 때 자신만의 문체보다는 자
신만의 생각과 발상, 삶이 필요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작가는 또, 낱말이나 문장을 선택할 때는
될 수 있으면 간결하고 쉬운 말로 표현하려고 노력한다.
끊어 치는 글쓰기의 다른 표현이다.
이 밖에 칼럼쓰기, 소설·시 쓰기를 비롯해
법조문 쓰기, 설교문 쓰기, 평론 쓰기와 등 독특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글쟁이 각자의 개성이 뚜렷해 여러 취향을 접할 수 있다.
장점이기도 단점이기도 하다.
얼마 전, '어떻게 살 것인가'를 읽으면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글쓰는 일을 하겠다고 마음 먹었다.
그런데 어떻게 글을 써야 하는지 여러 사람의 말을 듣고 나니,
그들은 하나 같이 작가의 인생관, 삶을 대하는 태도를 말한다.
그렇다면 나는 다시 '어떻게 쓸 것'인가를 알기 위해
'어떻게 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쓰는 일'과 '사는 일' 결코 떼어놓을 수 없는 건가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