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
리오 휴버먼 지음 / 책벌레 / 200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침이면 '돈'을 벌기위해 직장을 향하는 분주한 발걸음들..(아니 그보다 더 많은 자동차들의 바퀴들!) 먹고살기위해, 행복이란것을 누리기위해, 남보다 더 나은 삶을 살아보기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자본주의사회의 일상적인 직장인들의 똑같은 모습들..

'풍요속의빈곤'이 가진 의미는 경제학적인것외에도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 그 자체를 설명하기에도 전혀 거리낌없이 적용될 수 있을 비유이다.

풍요란것은 언제나 소수의 자본가의 금융계좌나 그들의 금고속에 보관되어있는 재산에 한정될때만 '풍요로운것'이고, '부(富)'가 되는것이다.

노동자들의 계좌와 지갑속 화폐는 가진자들의 주머니를 채워주기위해 다시 소비되어야하는 운명을 타고난다. 그들은 '부자'가 될 수 없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자들은 항상 제자리걸음을 해야한다. 억울하지만 현재로선 그럴 수 밖에없다. 다른 대안이없다.

문명의 야누스인 산업혁명은 그렇게 자본주의라는 모순덩이를 잉태한 체 인류를 잔인한 실험대에 올려놓고서 법과 정치와 경제력 모두를 소수의 유산계급에게 선물하며 되돌릴 수 없는 악순환의 출발을 부추긴것이다.

이처럼 현실적으로 결코 양립할 수 없는 (자본가의) '풍요'와 (노동자의) '빈곤'의 공존이라는 영원한 딜레마는 자본주의가 끝없이 안고가야할 과업이요, 인류의 가장 큰 숙제이다.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
우린 지금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자본주의사회에 살고있다. 이젠 자연스럽게 사람보다 돈이 우선시되고 '돈으로 못할것이없다'란 거창한 농담이 심각한 현실이 되어 우리를 살벌하게 포옹하고있다. 하지만 우린 과연 자본주의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있는가..

우리가 피부로 느끼는 물가라는것, 눈만뜨면 만지고 소비하는 화폐란것은 도데체 언제부터 생겨난것인지를, 관세와 보호무역이란것은 왜 필요하며 어디로부터 유래되었는지, 상품을 구입하는 방법의 변천과정은 어떠했는지('상품'이란무엇인지), 자본가와 노동자의 관계가 왜 착취자와 피착취자의 개념으로 환언될 수 있는지, 그렇다면 그 '착취'란것은 왜 일어나며 어떤 방법으로 행해지는지...

이러한것외에도 자본주의라는 경제체제 자체의 뿌리가 언제, 어디서부터 파생된것인지를 세계사와 관련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놓은 자본주의해설의 '결정판'이 바로 이책이다.

노동조합을 마냥 욕하며 기업인을 동정하는 많은(역시 또다른 노동계급인)기성세대들을 바라보면 자본주의가 던지는 씁쓸한 질문들앞에서 힘이빠질때가많다. 우린 잊으면 안된다. 봉건시대까진 생산자가 직접 사용하기위해 토지를 일구어 경작했지만 지금은 생산자 자신이아닌(물론 노예제시대나 봉건시대에도 주인과 지주를 위한 노동이 있었지만 본질적으론 생산자 자신과 가족을 위한 노동이었음을 기억하자!)자본가들이 (상품을)팔아서 이윤을 남기기위해 노동자들이 다시금 자신의 노동력을 팔아서 기본생계를 보장해주는정도의 '임금'이란것을 받고있다는 사실을... 자본주의는 불공정한 게임으로서 벌써부터 레이스의 승자가 정해져있는 재미없는 스포츠와같다.

대기업에 취업했다고 주위사람에게 자랑스레 얘기하는 '단순한'청년들의 현실... 법, 정치, 경제의 지저분한 삼각관계, 그 속에 뿌리내린 엘리트출신 '도둑'들의 소굴인 대한민국...

나라를 걱정하고 나라를 바꾸어보고싶은 생각을 단한번이라도(꿈에서라도) 해봤다면 이책을 통해서 '자본'과 '자본주의'라는것을 이해하고 판단하여 나름대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으면좋겠다. 재벌의 자손은 당연히 재벌이되어야하고, 노동자의 자손은 또한 당연하고 지속적으로 노동자의 길을 걸어야하는 이 해괴한 논리를 뒤집어보고싶지않은가?? 경쟁도 좋고 정의도 좋고 평등도 좋다... 좋은건 알지만 전혀실천되고있지않은 저 덕목들을 좀먹는 자본주의의 메카니즘을 깨어부술자 누구겠는가... 그것은 바로 우리 젊은이들의 양심과 의무이다.

자본주의! 우리가 죽을때까진 없어지지않을법한 부당한현실... 살아있는동안 집요하고 거침없이 파헤쳐볼만 사회현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