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대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9
윌리엄 골딩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류문명의 가장 잔인한 '결말'이 될 핵전쟁의 폐허속에서 탈출하게된 비행기 한대가 이름모를섬에 엄청난 '흉터자국'을 남기며 불시착하게된다. 그곳에는 멧돼지를 비롯한 '짐승'들만이 존재하는 무인도이다. 자연스레 디포의 로빈슨크루소의 줄거리와 결말이 뇌리를 스친다. 하지만 성급하게 추리하고 판단해선 안될것같다. 왜냐하면 로빈슨크루소는 '어른'이었고 '혼자'였지만 지금 이 섬에는 '아이들'이 '함께'생존해있기때문이다.

인간은 사회적동물이라했다. 단순하지만 사실이다. 지금 이 섬엔 아이들이 하나의 사회를 이룬다. 당연히 리더가 필요하다. 조직과 신분의 차이도 필요하다. 그것이 사회가 가진 속성이다. 이것을 어기면 고립된다. 방출된다. 무인도에서 그것은 곧 '죽음'이다..

아이들의 압도적인 지지에 힘입어 랠프가 '대장'이 된다. 랠프는 회합을 가지기위해 항상 소라를 이용한다. 그것은 권위와 권력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랠프는 그것을 가장 소중히여긴다. 랠프의 참모격인 '돼지'는 사리와 분별력을 겸비한 '지각있는'인간의 전형으로 그려진다. 좀 우둔해보이고 겁이많긴하지만 언제나 옳은소리만하는사람.. 그는 절대 틀리거나, 이치에 어긋나는 언급을 하지않는다. 하지만 융통성은 없어보인다. 완벽할 순 없는 인간의 모습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조직은 언제나 갈등을 내포한다. '세계'라는 조직의 갈등을 전쟁이라부르고 '국가'라는 조직의 갈등을 내전, 혁명따위로 부르는것처럼 이 곳 무인도에서도 랠프와 잭의 갈등이 불거진다.
피할 수 없다. 피하면 자멸한다. 서로 양보하지않은체 드리워진 팽팽한 긴장감으로 보이지않는 분계선이 좁은 무인도에 그려지게된다. 사실 잭이 좀 더 유리하다. 그에겐 '무력'이있다. 논리와 이치에만 기대어 맞서기엔 랠프쪽엔 현실적인 무기가 너무 빈약하다. 랠프에겐 고기도없고, 병력도부족하고, 무기도없다. 랠프에겐 오직 봉화와 소라, 그리고 돼지뿐이었다.

두차례의 살인이 일어나고 소설은 절정에 이른다. 랠프는 섬에 고립되어 살길을 모색한다. 하지만 쉽지않다. 아니 가망이없다. 절망과 공포와 분노가 뒤섞인 체 랠프는 잭이 이끄는 오랑캐(야만인)에 맞서 외로운 사투를 벌이게되는데...

이 소설에선 '어른'이 보이질않는다. 두 페이지를 남기고 나타나는 장교가 유일한 어른이다. 즉 '파리대왕'은 어린이들로 구성된 사회가 내포한 갈등구조를 통해서 인간이 가진 어둡고 추악한 본성과 권력에 대한 부질없는 집착등을 드러내면서 '어른'이 가진 가식적인 거죽대기를 통쾌하게 찢어발기는것이다.

랠프를 죽음의 벼랑까지 몰고갔던 그 집요한 추적이 장교에겐 한낱 '재밌는놀이'로 치부되는 마지막장면... 이성으로 본성을 가린체 평화로운 사회를 추구하는 어른과 이성보단 본성을 먼저배우고 실천한 어린아이들의 뚜렷한 대립구도를 보면서 '인간은 완벽할 수 없다'는것을 다시한번 되새겨보았다. 우린 너무 어려서도, 너무 늙어서도 안되는 나약한 '인간'일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