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오 영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
오노레 드 발자크 지음, 박영근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낙후된 국내 출판업계의 이런저런 사정으로 말미암아 발자크의 걸작시리즈물 '인간희극'을 모두 만나보진 못하고있지만 그나마 그 '정점'에 자리하는 대표드라마인 고리오 영감을 만나 볼 수 있음은 불행중 다행이다.

이 소설의 중심테마는 '자본주의'이다. 이미 14C부터 인간을 '가난한자'와 '부자'의 두 분류로 나누기 시작해서 지금까지도 전세계를 좌지우지하고있는 '절대적' 경제체제! 발자크가 프랑스인이라 여기선 파리만을 배경으로 자본주의의 다양한 모습(폐해를 위주로)을 묘사하고있지만 사실 그 내용은 인류전체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것으로서 '타국'의것만으로 치부하기엔 너무도 설득력있고 공감할 수 있는부분이 많은것이 사실이다.

발자크는 이 소설(주요등장인물인 으젠, 고리오영감, 나지, 델핀..)을 통하여 19세기 초반에 유럽에서 성행했던 사교계의 그늘진모습과 무모한 젊은이의 야망, 그리고 비합법적이지만 진실한 사랑으로 갈등하는 청춘들의 앙상한 자화상, 과감하면서도 극단적인 부성애의 표출등으로 '돈'이라는 물질에 종속되고 지배되어 벌어지는 다양한 '꼭두각시(인간성상실)'로서의 단면을 냉철하면서도 분명하게 제시한다.

또한 '불사신(보트랭)'으로 불리워진 도형수 자크콜랭을 발자크 자신의 '대변인'으로 설정하여 자본주의의 모순과 결점에 대한 적나라한 비판과 사회제도의 부조리한 면에 대한 '분노'를 적절히 노출시키며 이야기의 구성 및 재미를 놓치지않는 범위내에서 현실과 인간에 대한 진지함도 잃지않는 거장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이 책을 읽고나면 칼 맑스가 '서점의 잡다한 경제학 서적을 뒤적이는것보다 발자크 소설을 읽는것이 경제학 공부에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한 것은 단지 칼 맑스가 발자크의 '팬'으로서 언급한 주관적인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발자크소설을 평한 '평론가'로서의 정확한 지적이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