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 Z (Z세대) -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로버타 카츠 외 지음, 송예슬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Z세대, 포스트 밀레니얼, 주머, 또는 i 세대로 명명되는 이들은

인터넷 없는 세상을 전혀 모르는 최초의 세대다.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p7)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표지)

Z세대 최연장자 축에 속하는 이십 대 중후반은

월드와이드웹이 대중 앞에 등장한 1995년 전후로 태어났다. 디지털 시대의 무궁무진한

정보와 무한한 연결의 가능성만을 경험하며 자란 첫 세대가 바로 이들이다.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p7)

정말 궁금하다.

태어날 때부터 인터넷이 세상을 지배하는 시기를 살아온 시대의 사람들은 삶을 어떨까?

20대 중반 이전 나이의 젊은 친구들과

4050세대들은 뚜렷이 구분되는 각자의 삶의 방식으로 살아 온 인류들이다.

당신이 4050이라면,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이

자녀나 젊은 친구들을 이해하는 정말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은

1. 기존 세대와 다른 방식으로 친구를 사귀면서 10대를 보낸 지금 20대들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다.

2. 지금 10대들의 삶도 이해할 수 있다.

3. 앞으로 10대가 될 자녀들의 삶 또한 예상해 볼 수 있다.

즉, 온라인으로 친구를 사귀고 의사소통을 하는 세대들,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온라인'이라는 그들만의 세계에서는 어떤 규칙과 예의가 존재할까?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에서 그들은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표지)

지은이 ; 로버타 카츠, 세라 오길비, 제인 쇼, 린다 우드헤드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책날개 일부)

지은이는 모두 4명인데, 인류학자, 언어학자, 역사학자, 사회학자이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각각의 영역에서 Z세대를 말하고 있다.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을 읽으면서

Gen Z ; Z세대, 그들만의 세계

메일은 사절, 휴대 전화 문자와 개인 메시지로.

멀티태스킹은 기본,

디지털 기술로 일상을 짜 나가가는 이들의 삶.

이들도 안다.

온라인의 위험을!

먼저 온라인에 무언가를 올리면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부터

뜻밖에 온라인 공격을 당하기도 한다는 것을.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표지 일부)

따라서, 그 어떤 공간보다, 만남보다 '진정성'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성형 수술을 한 것보다 성형을 한 사실을 숨기고 안 한 척하는 것 - 그것이 더 나쁘다.

친구가 나온 사진을 온라인에 올릴 때에는 친구에게 먼저 허락을 구하는 것은 당연한 예의다(책 p114)

이들은 온라인에서 '사적인 것과 진정성 있는 것'을 구분한다. (책 p123)

이 부분이 온라인에 빠져드는 사람들 특징을 정말 잘 보여주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Z세대는 온라인 공간들을 '사적이지는 않지만, 진정성 있는 나'로 있을 수 있는 공간(책 p123)이라고 느낀다.

진정성 있는 나로 있을 수 있는 공간이란,

"있는 그대로의 나"로 인정받는 공간이라고 느끼고 있다는 뜻 아닐까?

아니면, 내가 조금은 이상적으로 꿈꾸었던 나를 솔직히 드러내 보일 수 있는 공간이라고 느끼던가.

나를 나로 인정받고 내 보일 수 있는 관계가 온라인에 있다면

온라인 모임은 정말 매력 있는 장소가 아닐 수 없다.

현실에서는 얼마나 많은 갈등과 엇갈림, 오해와 선입견으로 인간관계에서 좌절하는데 말이다.

빠져들 수밖에 없는 공간이다.

Z세대가 만드는 성 정체성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내용 일부)

외국에서 들어온 책이라 우리나라와 사정이 안 맞을 수 있는데, '성'에 대한 부분이 그랬다.

책의 다른 부분들은 우리나라 Z세대들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많은 부분이 공감이 간다.

< 제2장 다양한 조각들로 이루어진 '나' >에서는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다양한 정체성 중 하나로 '성 정체성'을 다루고 있는데 우리나라와는 많이 달랐고 우리나라가 얼마나 이 부분에서 보수적인가 하는 것도 느낄 수 있었다.

Z세대들에게 '성 정체성'은 '자유롭다'

성에 대한 개방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생물학적인 성별과 사회 문화적인 성별의 차이를 섬세하게 세분화 시키면서 얼마나 다양한 성 정체성을 만들어 내고 있는지 진짜 놀라웠다.

데미걸, 바이로맨틱, 데드네임, 마스크, 미스젠더, 프록스버, 유니콘 .......... 등등

성 정체성을 나타내는 말이 무려 27개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성 정체성을 찾지 못했다고 느끼기도 한다는 것이다.

우와!~~~~~~~

이들이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성 정체성'을 찾아가는 걸까?

책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들이 많이 나오므로 흥미 있게 읽어 나갈 수 있다.

여성과 소수자 권리를 옹호해 왔던 해리 포터의 저자 조앤 롤링에 대해 이들 Z세대가 왜 분노했는지도 이해할 수 있다.

서구는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여정이 인생에서 꽤 중요하다고 알고 있다. 그런 성향이 이렇게나 다양하게 '나'를 표현하는 것으로 드러나는 한 예인 거 같아 부럽다.

자신의 가장 기본적인 '성'에 대해 자유롭게 인식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 우리는 언제쯤 이렇게 될 수 있을까?

타인의 다양한 '성 정체성'에 대한 인정은 다양한 형태의 가정, 종교로까지 나아간다.

여러 면에서 Z세대가 기존 세대들보다 나와 다른 타인을 더 잘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모습이다.

이런 Z세대가 겪는 실제 현실은 어떠한가?

Z세대가 꿈꾸는 미래

전통적인 가정의 형태도 많이 깨져 디지털 친구가 그 자리를 대신하는 세상을 살아온 Z세대다.

이들이 실제 겪는 세상 살이도 만만치 않아 기존 세대보다 더 힘들게 노력해야 하고 경쟁해야 한다.

'오리 신드롬'이라는 말로 이런 현실을 나타냈지만,

Z세대는 오히려 보다 솔직하게 이런 불안하고 불완전한 마음을 드러내서, 서로 공감하는 문화로 바꾸었다. 이런 공감이 세상의 다른 문제들, 예를 들면 '기후 위기' 같은 문제에도 참여하게 만든다.

책은 이들의 정치 참여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는데 세상을 바꾸려는 이들의 여정이 정치에도 참여하게 만드는 것은 당연한 과정이다. 그럼, 이들의 정치 참여는 어떻게 드러날까?

"이러한 변화는 과거보다 유동적이며 유연하며 훨씬 더 참여적인 사회형태를 빚어내고 있다."(책 p280)

이들이 미래 사회를 어떤 모습으로 바꾸어 나갈까? 기존 세대와 다른 어떤 멋진 사회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 기대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다 문득 깨달았다.

이곳은 우리나라가 아니다.

우리나라 Z세대를 분석한 책은 아니다.

우리나라 Z세대

지난 대선에서도 노인층 다음으로 보수적인 투표를 했던 층이 20대였다.

온라인 문화를 즐기고 공유하며 위로받고 그들만의 문화를 공유하는 모습은 우리나라 Z세대들도 비슷한데........

왜 우리나라 Z세대들은 위 책처럼 기존 세대보다 '유동적이고 유연하고 훨씬 더 참여적'이지 못하다는 느낌을 줄까?

우리나라 청년층은 오히려 은둔형 외톨이가 엄청 많아지고 이것이 조만간 사회 문제가 될 것이라고, 얼마 전 기사에서 잠깐 지나치듯 본 것이 기억 남는다.

우리 사회는 더 이상 Z세대들에게 기회를 주지 않는 고루하고 틀에 박힌 사회인가?

왜 우리나라는 Z세대들에게 더 이상 희망이 없는 사회가 되었나?

이 책을 통해 온라인에서조차 희망을 찾지 못하는 우리나라 Z세대의 현실을 떠올리게 돼서 정말 안타까웠다.

또한 지금도 우리는 어릴 때부터 남들과 '함께 하는 교육'이 아니라 남들과 경쟁에서 조금이라도 이기기 위한 교육을 열심히 하고 있는 우리 현실을 더 생각나게 했다.

영미권 사회는 Z세대에게서 희망을 보는데 말이다.

마지막으로,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차례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차례)

이 시대 20대, 젊은 층을 이해하고 싶은 세상의 모든 이들에게 멋진 열쇠가 되어 줄

문학 동네에서 나온 신간 도서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이다.

('Gen Z,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표지)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