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일 우익 근대사 완전정복
이영채.한홍구 지음 / 창비 / 2020년 1월
평점 :
피해의식과 혐오에 기반하여 욕하는 일은 쉽다. 어떤 면에서는 효과가 있기도 하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아직도 풀어갈 것이 많다. 나는 한국이 해방 이래 단 한 번도 피해국에서 벗어난 적이 없었다고 생각하여 한국인은 일본을 욕할 수밖에 없다고 여긴다.
이 기분만 잠깐 나아지는 최초의 단계를 지나면 생각과 성장을 할 줄도 알아야 한다. 내가 그간 욕해 왔던 것은 과연 정당한가? 정당한 표현을 썼는가? 내가 욕한 대상은 문제의 근본인가? 그 대상을 고치면 근본적인 해결이 오는가? 그런데 우리는 거기서 나아가고 있던가? 어떤 사람들은 실제로 나아가서 책도 썼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아직도 쪽바리니, 일본놈들이 우리한테 한 것처럼 일본 여자를 강간하겠다느니 하는 혐오에 찌들어서 욕 래파토리라고는 이런 가부장적이고 인종차별적인 내용밖에 없진 않나? 그래서 한국인은 계속 일본을 욕해야 하는가? 100년 뒤에도? 인류의 마지막 날까지 원숭이라고만 할 것인가?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이젠 좀 벗어나자. 밑도 끝도 없이 인종차별적인 발언과 함께 일본인 모두를 싸잡아서 욕하는 것을. 그래서 다른 식으로 욕하기로 마음먹었다. 다른 욕을 하기 위해선 새로 욕할 것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나는 이영채 교수와 한홍구 교수의 <한일 우익 근대사 완전정복>을 권한다. 이 무슨 수험서 같은 제목의 책이냐? 일본을 욕하는데 공부까지 하라는 것이냐? 그렇다. 일본 총리가 소속된 당 이름은 알고 있나? 일본회의가 뭔지는 아나? 야스쿠니가 일본 총리의 참배를 안 좋아한다는 건 알고 있나? 일본 총리가 소속된 당의 뿌리는 알고 있나? 이야기가 언제부터 시작되는지 알고 있나? 첫 번째 질문의 답밖에 대답하지 못하면서 여전히 일본을 욕하고 싶다면 일본 우익과 다를 바 없다. 인종차별과 재일조선인(남한인, 북한인, 조선에서 건너왔으나 한국 국적을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과 그들의 후손 등을 포함한다)에 대한 멸시로 똘똘 뭉쳐 욕하는 사람들과 어찌 다르다고 하겠는가? 어쩌면 그네들이 더 나을 수도 있다.
내가 계속 일본욕, 일본욕 이랬는데 일본에는 일본 총리가 소속된 당의 정치적 성향을 띤 사람들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니 우리는 ‘일본과 일본인’을 ‘욕할’것이 아니라 ‘역사를 왜곡하고 반성하지 않으며, 전쟁 이전의 일본으로 회귀하고 싶어하며 재일조선인을 멸시 및 차별하고자 하며 기타 등등 하는 사람’을 ‘바른 앎과 인권과 세계평화를 수호하는 마음으로 비판’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우리는 쪽수가 많지 않나? 한국인은 물론이고 몇몇 일본인과 대만인 등 아시아 각국의 시민들과 연합할 수 있다.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것은 쪽바리 망하라는 일시적 욕설이 아니라 국경을 넘어선 연합과 제대로 된 앎 그리고 지속적 관심이다.
이 책과 함께 읽으면 좋을 책들. 야스다 고이치의 <거리로 나온 넷우익>과 <일본 ‘우익’의 현대사>, 아오키 오사무의 <일본회의의 정체>, 스가노 다모쓰 <일본 우익 설계자들>, 마쓰모토 겐이치의 <일본 우익사상의 기원과 종언>, 야스다 고이치, 야마모토 이치로, 나카가와 준이치로의 <일본 넷우익의 모순>.
창비 출판사의 서평단 모집에 지원하여 받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