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어 사냥
차인표 지음 / 해결책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어 사냥

차인표 / 해결책


차인표 배우를 떠올리면 가죽 재킷에 날 선 머리로 색소폰을 불며 사랑을 그대 품 안에를 부르짖던 잘생긴 배우로만 기억되었다. 아무튼 데뷔 시점부터 화려한 스펙에 신앙심이 깊고 함께 열연한 상대 여배우 신애라와 결혼해 모범적인 가정을 꾸리며 살아가는 반듯한 배우로 기억된다. 그랬던 그가 글도 이렇게 잘 쓰는 줄 미처 몰랐다.


편견이 있었다. 연예인이니까 자신의 이름값으로 책 한 권 내는 게 뭐 어려울까... 이 책의 초입부터 나의 어쭙잖은 편견은 송두리째 깨졌다. 전체적인 스토리텔링과 플롯 하나하나까지 인어 사냥은 제대로 글을 배운 모범생이 자신이 가진 재능을 모두 끌어와 쓴 창의력의 집합체 한국형 판타지 소설이다. 판타지라고 회귀, 환생 뭐 이런 트랜드를 따라간 것이 아니라 우리 고유의 한이 서린 이야기 속에 인어와 강치를 데려와 인간의 욕망과 버무려 만든 왠지 그 시대에는 충분이 있었을법한 흥미로운 이야기였다.


전체적인 흐름에서 살짝 억지스러운 부분도 있었지만 장르가 판타지 아닌가! 판타지는 인간이 하늘도 날 수 있고 죽었다가 다시 살아날 수도 있는개연성을 부여하니 독자로서 충분히 이해되고도 남는다.

\간단한 줄거리 요약



이야기는 1902년 강원도 통천에서 시작된다. 어부 박덕무와 아내 임씨는 예쁜 딸 영실, 아들 영득과 함께 만사 평온하고 아늑하게 행복을 느끼며 살아간다. 이 행복한 가정에 갑자기 불어닥친 불행은 아내 임씨의 갑작스런 죽음이었다. 고작 여섯 살의 딸 영실은 동생 영득을 엄마 대신 돌보기 시작한다. 책임감 강한 어부 박덕무는 남은 두 아이를 키우며 성실히 살아가는데 딸 영실이 죽은 아내와 같은 물에 빠진 사람이 숨을 못 쉬는 것처럼 고통스러워하며 결국은 죽는다는 고질병의 증세를 보이기 시작한다.


마을의 공영감이 전해준 기름 한 방울을 먹고 다 죽어가던 영실이 숨을 쉬기 시작한다. 이 책의 고약한 빌런으로 등장하는 공영감은 조상 대대로 통천 땅에 살아오던 토박이인데 물개와 흡사한 강치를 잡아 가죽을 팔러 다니던 잡화상이었다. 어느 날 공영감의 배가 그 누구도 다니지 않는 뱃길을 따라갔다가 암초 때문에 바위에 부딪혀 큰 사고를 당한다. 물에 빠진 그는 상어에게 팔과 다리를 잃는다. 바다를 훼손하고 그 속의 생명을 유린하는 자 였던 공영감의 사고는 마을 사람들에게 당연한 하늘의 이치였다. 그 첫번째 이유는 강치를 무차별로 잡아 가죽을 벗기는 그의 악한 행동때문이기도 했다.


그런 그가 박덕무에게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명약을 전하며 영실에게 먹이라고 한다. 영실이 한방울을 먹고 숨을 쉰 바로 그 기름이다. 이야기는 어부 박덕무가 딸을 살리기 위해 공영감이 전해준 명약을 구한 이야기를 전해 들으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책을 읽고 느낀 점



작가는 이 글의 모티브를 조선시대의 문신 유몽인이 쓴 『어우야담』을 읽고 거기에 나오는 우는 인어를 보고 연민이 들었다고 한다. 이 느낌은 곧 자신이 글을 쓸 가치가 생겨난 것이며 인어라는 소재에 일제 강점기에 일본 어부들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멸종해버린 우리나라 독도의 강치를 더해 판타지의 묘미를 살린 이야기이다.


공영감의 인어사냥에 대한 탐욕은 지금 이 시대의 인간들이 생명을 천시하며 벌이는 동물에 대한 살육과 자연을 함부로 오염시켜 훼손하는 일과 다를 바가 없다. 자연을 아끼고 더욱 잘 보존해야 우리의 후손들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터전을 물려주는 길임을 각인시킨다. 아쉬운 점은 책표지를 좀 더 신경쓰고 활자나 책의 크기를 키워 가족이 모두 함께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표지 디자인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점이다.


공영감의 조상인 공랑이 구한 불로장생의 명약이라는 인어기름의 비밀, 아픈 딸을 어떻게든 살려보려고 노력하는 강한 부성애의 박덕무와 착하고 순수한 마음을 가진 영실과 영득이, 불로장생을 꿈꾸는 공영감과 마을 사람들의 추악한 욕망에 신비로운 인어 이야기가 더해져 작가의 수려한 작법으로 탄생한 인어사냥은 특정한 대상을 두고 쓴 소설이기보다 가족 모두가 읽을 수 있는 훌륭한 K판타지 소설이었다.











|의미있었던 구절




갸날프고 곱상한 얼굴 모양으로 보아 여자아이 같았다. 아이는 머리카락이 한 올도 없는 민머리였다. 갸름한 얼굴에 도톰한 입술은 푸르스름하면서도 자줏빛으 띠었는데, 입술 꼬리가 위로 살짝 들려 언뜻보면 키득거리며 웃는듯이 보였다. 긴 속눈썹이 반쯤 덮은 동그란 눈동자는 숯처럼 검었다. 콧마루는 오똑 섰는데 콧구멍은 보이지 않았다.피부색은 옅은 푸른 기운이 도는 살색이요, 등에는 흑빛깔의 얼룩무늬가 보였다. 입술을 오므려 소리를 낼 때마다 풀피리 같이 가느다랗게 떨리는 소리가 수면 위로 곱게 퍼져 나갔다.

page46

각자 짊어지고 있는 짐들이 있었고 그 짐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소망이 있었다. 하지만 소망이 선을 넘으면 욕망으로 변한다는 것을 그들은 몰랐다. 소망은 해도 되는 것과 해서는 안되는 것을 구별하지만 욕망은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을, 그래서 욕망의 얼굴은 추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그들은 자신들이 무엇으로 변할지 알지 못했다.

page107



출판사 지원 도서를 읽고 주관벅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