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열린책들 세계문학 276
나쓰메 소세키 지음, 양윤옥 옮김 / 열린책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

나쓰메 소세키 /열린책들


나쓰메 소세키의 책을 처음 만난 것은 고양이 집사 필독서인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였다. 나는 이 작가의 위트와 고양이의 시각을 통한 인간 삶에 대한 고찰이 너무 흥미롭고 재미있어 정말 단숨에 읽어내린 기억이다. 그러나 [마음]은 좀 달랐다. 그렇게 편안한 내용의 책은 아니었고 깊다 못해 초반의 잔잔한 느낌은 사라지고 자아 속 괴리감을 떨쳐내지 못한 루저들의 일기장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일단 시작부터 '나' 라는 인물이 우연히 해수욕장에서 만난 선생님에게 끌려 유달리 집착하는 모습이 글을 읽는 독자의 가치관과 다를 때 3분의 1 지점에서 덮어버릴 책이었다. 적어도 나는 그런 느낌이 들었는데 나의 가치관에 맞추는 독서법(?)...을 운운하기 전에 서평책이다. 무조건 써내야 하는...그렇다면 작가적 시점에서 독자들에게 무엇을 전하고 싶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책을 제대로 읽어내는 방법일듯 해 이 책이 쓰여진 시대적 배경과 시점을 한번 살펴 본다.




1914년 4월 20일부터 8월 11일까지 《도쿄아사히신문[東京朝日新聞]》과 《오사카아사히신문[大阪朝日新聞]》에 연재되었다. 같은해 9월 이와나미[巖波]서점에서 단행본으로 출간하였다. 자비출판이어서 장정부터 표제의 글자까지 저자의 고안으로 만들어졌다. 작품은 《선생과 나》 《부모와 나》 《선생과 유서》 등 3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테마가 되는 부분은 《선생과 유서》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마음 [心]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Tip : 이기주의의 한계를 암시하고 있는 이 작품은 나쓰메 소세키 문학의 근본 주제인 사랑과 에고이즘의 문제를 왜곡된 자기부정에 빠진 지식인의 고뇌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시대적 배경은 19세기말 급격한 근대화로 인식의 변화를 겪고 있는 일본인의 인식변화를 다룬 작품이다. 지금 이 시대 현재의 우리 부모들이 바라는 평균적 소망은 내 자녀가 열심히 노력해 '대기업이나 공기업 등등 든든한 직장에 취업해 비슷한 환경의 맞벌이 하는 배우자를 만나 서울이나 경기도 혹은 지방 대도시에 자가 아파트 한채를 가지고 아무 걱정 없이 일하고 자식 키우며 먹고 사는 것'이 내 자녀를 제대로 잘 키워냈다는 뿌듯함 아닐까...아마도 그 시절 일본의 부모들은 자식이 도쿄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산업은행에 사무직으로 취직하고, 좋은 가문의 사람과 결혼하는 꿈이 있었을 것이다. 오~(이것은 소설 파친코를 읽고 얻은 지식임)


책은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생과 나, 부모와 나, 선생과 유서 인데 나쓰메 소세키의 책이라 읽기 시작 전부터 기대가 아주 컸다. 특히 나 자신이 한창 긍정에 대한 챌린지로 다양한 자기개발서를 읽는 시점에 만난 책이라 불편함과 괴리감이 읽는 내내 혼돈을 주기 시작했다. 시작은 크게 자극적이지도 않고 '나'와 '선생님' 그리고 'K'정도의 단순한 인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메이지 말기라는 시대적 배경이 있었다. 메이지 말기(?)역사에 대해 금붕어 두뇌를 가진 나는 한번 짚고 넘어가 볼 일이다.



선진국의 자본주의 열강이 제국주의로 이행하기 전야인 19세기 중반의 시점에서 일본 자본주의 형성의 기점이 된 과정이며 이 일로 일본의 근대적 통일국가가 이루어 졌다고 한다.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가 성립하였고, 정치적으로는 입헌정치가 개시되었으며, 사회 ·문화적으로는 근대화가 추진되었다. 또, 국제적으로는 제국주의 국가가 되어 천황제적 절대주의를 국가구조의 전분야에 실현시키게 되었다. 유신을 이룩한 일본은 구미에 대한 굴종적 태도와는 달리 아시아 여러 나라에 대해서는 강압적 ·침략적 태도로 나왔다. 1894년의 청일전쟁 도발, 1904년의 러일전쟁의 도발은 그 대표적인 예이며, 그 다음 단계가 무력으로 한국을 침탈한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메이지 유신 [明治維新(명치유신)]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수욕장에서 처음 만나 '나' 가 관심을 가지게 된 선생님은 우울하다. 우울하다 못해 세상 고민은 다 짊어지고 자살한 친구의 업까지 끌어안고 사는 사람같아 보인다. 삶의 의욕도 그다지 보이지 않고 가장이라면 당연히 해야할 근로도 하지 않는다. 일을 하고자 노력조차도 않는 사람이다. 재산이 많아서 그런가? 했더니 그것도 아니다.


소설 속 '나'는 도대체 선생님의 가정이 어떤 경제적 대안으로 삶을 연명해 가는지 까지도 궁금해 미칠 지경이다. 오지랍이 너무나 심하고 집착하는 듯해 처음엔 불편했다. 읽다보니 근본은 '나'의 순수함이 무기였다. 어린 학생으로써 처음 선생님을 만났을 때 외국인과 함께 있던 선생님은 보기드문 지식인으로 보였을 것이고 이에 대한 동경과 타인에 대한 막연한 시각적 판단이 나로 하여금 선생님에게 몰입하게 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뭔가 큼직한 비밀을 안고 살아가는 선생님과 그의 아내 시즈를 만난 후 '나'의 호기심은 더욱 증폭되고 시대상이라 어쩔수 없지만 여성에 대한 지극히 수동적인 표현들이 그 시대 일본 여성의 지위를 말해주는 듯 해 아쉬운 마음도 있었다. 중반을 넘어가면서 반복되는 각 개인의 우유부단함과 소신있게 삶을 개척하지 않고 의지하려는 모습들이 지루하기도 했지만 불신과 배신등으로 상처 받은 선생님의 장문의 편지에서 조금은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 생겨났다. 반전은 K의 자살이 선생님과도 연관이 없지 않음을 알게되어 선생님 마음의 깊은 심연 속 미궁을 개미 왼쪽다리 하나만큼 이해할 느낌이었다.


죽었다고 생각하고 살아가기로 결심한 내 마음은 때때로 외계의 자극에 통통 튀어 오릅니다. 하지만 내가 어떤 쪽으로든 힘껏 나아가려고 하면 그 즉시 무서운 힘이 어디서든 달려와 내 마음을 움켜쥐고 꼼짝달싹 못 하게 합니다.

page306


작은 아버지에게 사기를 당했던 당시에 나는 남을 믿을 수 없다고 느꼈던게 사실이지만,남을 좋지 않게 본 것 뿐이지아직 나 자신은 정확한 사람이라는 마음을 갖고 있었습니다. 세상이야 어떻든 나만은 반듯한 인간이라는 신념이 어딘가에 있었던 것이지요.

page300


선생님은 불신이 가득한 세상을 산다고 생각하며 비관적으로 살아왔지만 그 가운데 '나' 라는 화자에게는 신뢰를 기꺼이 주고 있었다. 인간의 마음은 참으로 복잡하고 다양하고 알수 없는 일이다. 되새겨 보면 선생님이 불신을 갖게된 이유는 '돈' 이라는 매개체이고 k의 자살은 '사랑'이 문제였다. 시대를 막론하고 '돈과 사랑'은 인간의 삶에서 배재할 수 없는 조건이다. 등 따숩고 배불러야 행복도 따라오는 것이고 사랑도 동행하게 된다는 생각이다. 내가 너무 현실적인가...


이 책 마음을 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무튼 서평이라는 것은 주관적인 것이고 나의 지식적 한계에 도달해 도대체 선생님은 이렇게 복잡하게 살게 뭐 있는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은 각자 성향이 다르니 그때의 시대보다 더 불신과 이기심이 판치는 작금의 이 세상에 현재도 분명 이런 삶을 살아가고 있을 또 다른 선생님들에게 소주 한잔 권하며 말하고 싶다.


"인생 뭐 있습니까..다 지나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