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마코스 윤리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2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코마코스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 / 현대지성

인간에게 가장 좋은 것은 무엇인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논제를 경험론에 비추어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썼다. 인간에게 가장 좋고 즐거우며 '행복' 이라고 부르는것이 무엇인지 이를 추적해 나가는 것이다. 행복과 윤리가 어떤 연결성이 있어 윤리를 바탕으로 한 행복의 정의를 구현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의 우리는 윤리를 도덕적 개념으로 생각하지만 과거에는 윤리를 좋고 나쁨의 개념으로 사용했었다고 하니 인간의 본성에 부합하는 것이 좋은것이라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인간에게 좋은 것은 행복의 개념과 부합하다고 보고 그 의미를 찾아나가는 것이다. 행복은 개인에게서 일어나는 것이나 개인은 국가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이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와 관련된 정치학을 토대로 인간의 행복을 정의하고자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삶을 3가지형태로 나누어 생각한다. 본능에 충실하고 육체적인 쾌락을 쫓는 향락적인 삶

낙천적인 사람들은 먹고 마시고 편히 쉬는데 그 행복을 두고 있으나 이는 인간이 느끼는 행복 중에 가장 저급한 것이라고 표현하며 그런 것은 동물도 느낄 수 있는 것이므로 이와는 차별을 두고자 한다. 여기서 잠시 나의 삶의 모토가 엇나가기 시작한다. 내가 느끼는 행복은 좋은 사람들과 욕심없이 사소한 것이라도즐겁게 이야기하고 나누며 그 안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다.라는 개똥철학을 가지고 있었는데 말 그대로 개똥이었다. 이는 내 몸이 편하고 그저 문제없이 사람들과 먹고 마시며 일상을 나누는 단순한 삶의 형태일 뿐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오직 인간에게만 있는 이성과 지성을 추구하고 사용하면서 신과 가장 닮은 것을 행하는데 행복의 의의를 둔다.

두번째로 정치적 생활을 예로 든다. 이는 자신의 명예나 명성을 쌓는데 집중하는 삶으로 자족적이지는 않고 타인이 인정해 줄때만 가능해지는 행복이다. 선거를 앞둔 현재의 대한민국에서 때때로 각 후보들이 저렇게 오욕을 당하면서도 자신의 야망을 내려놓지 않는것은 자신이 추구하는 행복이 여기에 있어서 일수도 있겠다. 타인의 평가에 의존하고 인정욕구를 따르다보면 자존감이 위협받을 수도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좋은 사람이라는 확신을 갖고자 명예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행복감이라는 것은 나 자신으로부터 시작되어 나 자신으로 귀결되어야 한다. 타인에 의해 인정 받는 것은 지속될 수 없는 행복이다. 그들의 감정을 내가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행복은 나 자신의 의지대로 다룰수 있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라 하겠다. 아울러 경제적으로 많이 가지는 부에 대해서도 언급하기를 부는 행복의 수단은 될 수 있으나 목적이 될수는 없으므로 돈은 행복을 논하는데 본질적인 요소가 될 수 없음을 말한다.

행복은 나 자신을 관조적 입장으로 바라보며 우리가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며 이는 곧 덕을 실현하는 삶이라고 말한다. 덕은 인간이 추구해야 할 최고의 선을 뜻하며 이는 윤리학에서 바라보는 가장 좋은 삶인 행복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행복을 누리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중용의 삶을 말한다. 본능을 인지하고 조율할 줄 아는 중용의 삶 즉 이성에과 지성에 따라 좋은 것.바람직한 것. 옳은 것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삶을 살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이성으로 생각하는 지적인 덕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를 행동으로 실천하는 도덕적인 덕을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한 삶임을 보여준다.

모든 것을 스스로 아는 사람은 가장 훌륭하고,

좋은 말을 해줄 때 경청하는 사람도 훌륭하지만

스스로 알지도 못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도

마음에 담지 않는 자는 아무 짝에도 쓸데없는 사람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스승 플라톤과 다른 점은 이 모든 것을 완전히 억제하기보다 적절한 수준에서 지나치지 않을만큼 쾌락도 즐기는 것이 행복의 조건이고 이성적으로 생각하며 자신이 지나치지 않은지 반성하고 검토하는 삶 즉 중용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행복의 본질인 것이다.

이외에도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랑에 대해서 논한다. 완전한 사랑은 무엇일까? 이는 미덕을 지닌 사람 사이에서 생기는 사랑을 의미한다. 그가 말하는 행복의 본질 속 이성적 생각을 하고 행동으로 실천하는 사람들끼리 하는 사랑, 모두 똑같이 좋은 사람이므로 그들이 바라는 상대방의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진실이다. 그들의 성품이 진심으로 서로가 잘되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사랑이다. 따라서 사랑은 그렇게 쉽게 금방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사랑하고 싶거나 사랑 받고 싶은 마음은 빠르게 생겨날 수 있지만 완전한 사랑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결국은 철학하는 삶, 즉 이성을 가지고 생각하며 스스로를 관조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사람. 공동체의 미덕을 실천하면서 서로에게 잘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덕을 가진 사람이 진정한 행복을 추구할 수 있으므로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닦아 나가자는 말로 이해되었다. 머리속 복잡한 철학의 언어들이 정리되는 느낌이고 우리 스스로가 자신의 마음을 잘 다스려 선한 마음을 갖고 악을 멀리하다보면 행복은 자연스럽게 우리 곁에 와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