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의 미래 - 금융.산업.사회는 어떻게 바뀌는가
오키나 유리 외 지음, 이현욱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최근 논란이 있었던 가상화폐 현상, 비트코인 광풍은 대한민국을 강타했습니다. 사람들은 투자냐, 투기냐의 갈림길에서 선택을 했고, 이익을 본 투자자, 엄청난 손해와 후폭풍을 맞은 투자자로 나뉘었습니다. 제대로 알고 대응하더라도,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여전히 비판적인 평가와 시각이 존재하고 있고, 과연 블록체인발 금융혁명이 가능할까 하는 의문도 제기되었습니다. 4차 산업혁명으로 모든 산업이 IOT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많은 분야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기업들은 발빠르게 대응하며 소비자와 대중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같은 변화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이 책은 제법 진지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단 블록체인에 대한 저평가는 금물입니다. 비트코인으로 인해서 그 의미가 퇴색되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습니다. 오직 비트코인에만 집중했고 당장의 이익창출에만 혈안되었습니다. 금융산업의 변화, 이미 자동화, 기계화를 바탕으로 변하고 있고, 이로 인한 인력감축이나 축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줄어드는 일자리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금융산업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고 있다는 반증입니다. 대중화된 핀테크 기술, 스마트 기법으로 우리는 일상에서 금융거래를 편하게 하고 있고, 여러 취약점이나 문제점이 제기되지만, 시대적 흐름과 트렌드를 맞서기에는 부족해 보입니다.


또한 경제현상을 이해할 때, 국가의 개입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중앙정부의 통제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변해야 한다, 혹은 중앙정부의 개입을 배제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간의 거래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물론 해킹의 우려나 보안상의 취약점, 외부변수로 인해 손해를 입었을 때, 누가 보상해줄 것인지, 이익을 보면 내 탓, 손해를 보면 배상은 정부의 몫, 이런 이중잣대부터 버려야 합니다. 새로운 기술의 도입은 과도기를 거치게 됩니다. 어쩌면 지금이 이런 변화적 과도기일 지도 모릅니다. 금융산업 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 그리고 해외의 사례, 선진국의 판례를 참고하며 신중하게 접근하는 자세도 중요합니다.


무조건 그들이 맞다고 볼 수는 없지만, 적어도 우리보다 앞서가는 선진국이나 글로벌 기업들의 방향성을 통해, 한국식의 정착과 우리 경제와 산업이 나아갈 방향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더욱 보편화, 상용화, 대중화 될 것이며 새로운 기회나 위기는 끊임없이 등장할 것입니다. 블록체인 = 비트코인이라는 너무 단순한 논리가 아닌, 사회 전반적인 변화와 추세로 보는 관점이 중요해 보입니다. 블록체인의 미래,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인 만큼 관련 지식과 정보에 대한 신중한 태도가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기회를 포착하며 성공할 수 있는 방법론 혹은 모델을 찾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이 책은 이런 점에 대한 언급과 소개, 미래산업과 경제현상을 진단하고 있습니다.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으며 다양한 분야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