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행복 수업 - 왜 세계 최고 지성들은 행복 수업을 듣는가
유키 소노마 지음, 정은희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행복한 삶, 누구나 원합니다. 하지만 불행은 늘 같이오거나 불행만 오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알 수 없는 미래, 불안에 떨며 기다려야 할까요? 아닙니다. 행복은 오직 자신만이 이룰 수 있고, 자신에 의해서 벌어집니다. 행복의 가치나 크기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개인마다 기준과 가치관, 원하는 것, 선호도에 따라서 판이하게 갈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더욱 행복을 갈망하고,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지식인이나 사람들에게 정답을 묻고 있습니다.


이 책도 처음 접근할 때, 대부분이 그런 의도로 접근했을 겁니다. 하버드라는 이름과 행복이라는 기쁨, 어떤 형식으로 스토리를 전개할까하는 그런 기대감 말입니다. 하지만 이런 것은 잠시 접어둘 것은 권해드립니다. 책에서는 아주 기본적인 것, 소소한 것, 우리가 충분히 알고 있는 것에 대한 언급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만큼 행복을 너무 멀리서 찾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사람들은 행복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거나 추상적으로 느끼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과 빠르게 변하는 세상의 속도에 뒤쳐지는 느낌, 허탈감, 실패의 좌절감 등 다양한 심리적 요인이 결합되어 그렇습니다.


하지만 이제부터 자신을 돌아봐야 합니다. 내가 과연 꿈꾸는 행복은 무엇인가? 정말 행복을 누릴 자격이 있을까? 욕심은 아닌지, 너무 큰 기대치와 목표설정을 한 것은 아닌지, 기본에 충실하고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행복한 삶을 즐기고 있습니다. 즉 현재에 충실하며 최선을 다하는 사람은 늘 행복하며, 긍정적인 생각과 신념으로 더욱 많은 성공과 행복을 이루고 있는 것입니다. 불필요한 감정소모나 대립, 갈등이나 시기 등 부정적인 감정과는 거리가 멀며, 그 시간에 자기계발이나 관리에 집중하고 있는 것입니다. 


타인의 눈에는 이런 것들이 개인주의 혹은 이기주의로 보이겠지만, 자신을 위한 삶, 내 삶에서 내가 없고 타인의 눈치만 본다면 얼마나 피곤할까요? 우리는 너무 많은 것을 신경쓰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또한 왜 그렇게 타인에게 배려만 하다가 지치는지, 한국만의 정서나 문화, 사회적, 구조적인 심리도 한 몫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변해야 합니다. 버릴 것과 취할 것을 구분하고 타인에게 피해주지 않는 선에서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고 누릴 권리를 가져야 합니다. 


또한 모든 것을 혼자서 해결하려는 과욕이나 의지는 줄여야 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소통하려는 성격이나 태도의 변화도 중요합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혼자서 많은 것을 이룰 수 있지만, 멀리가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함께 하는 순간, 더 많고 다양한 것을 쉽게 이루거나 드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즉 관계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타인에게 베풀어야 합니다. 시기나 질투, 미움의 감정을 버리는 연습, 이는 자신의 행복으로 돌아오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책에서 말하는 행복관, 행복, 행복의 기준이 별 의미없게 보일 수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것, 반드시 해야하는 것에 대한 언급이 있고, 참고할 부분, 내가 부족한 부분을 진단할 수도 있습니다. 너무 많은 욕심이나 무리한 도전보다는 때로는 쉬어가는 미덕과 돌아가더라도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꾸준함, 또다른 자신의 강점이 될 것이며, 미래를 바꾸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 책은 행복을 비롯한 다양한 관리의 중요성과 관계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어서 매우 유용한 책이 될 것입니다.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