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으로 산다는 것 -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역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조선왕조, 가장 가까운 시기, 기록으로 자세하게 남아있는 역사, 인물과 사건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평가가 공존하는 시대, 조선왕조입니다. 누군가에게는 굴욕의 역사 혹은 찬란한 문화강국, 무난했던 왕조 등 다양한 평가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역사를 보는 기준이 다르며, 해석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너무 획일화된 것에 고집을 피울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사실에 입각한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평은 필수적이지만, 한 쪽으로 치우친 사고는 경계해야 합니다. 특히 왕들에 대한 평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조선왕조는 왕조기록과 실록이 잘 보전되어 있어서 왕들의 생애를 우리가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조선 = 왕이라는 공식처럼, 왕을 통해서 시대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성군과 폭군, 중흥기와 쇠퇴기 등으로 구분되는 이유입니다. 이 책은 조선의 27대 왕들을 언급하면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고 있습니다. 양반의 나라, 성리학의 국가, 유교사상, 신분제도 등 보수의 이미지와 쇄국의 느낌이 강한 왕조지만, 그 속에서 자신의 가치나 철학, 후손들을 위해서 국가를 새롭게 만들겠다고 한 왕들도 많았습니다. 우리가 단면에 매몰되면 안되는 이유까지 겻들이고 있습니다.
교양 프로그램인 역사저널 그날에서 고정 패널로 등장하여 높은 식견과 재치있는 입담으로 잘 알려진 신병주 교수님이 직접 만든 책이라서 완성도가 높고, 신뢰감이 생깁니다. 조선사 전문 역사가이며, 최대한 객관적인 평가, 오늘 날과의 비교를 통해서 독자들에게 많은 지식과 판단의 선택까지 일깨우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조선사를 좋아하지 않는데, 그 이유가 조선후기로 갈수록 타락하는 왕조의 모습을 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왕들의 입장이나 상세한 기록을 보면서, 어쩔 수 없는 영역도 있구나, 아무리 왕이라도 한계가 있었고, 이는 왕들의 탓만이 아니라는 것도 새삼 느꼈습니다.
또한 여러 사건과 인물이 있었지만, 효종의 북벌론과 광해군 시기의 중립정책이 안타까웠습니다. 광해군은 이미 여러 영화나 드라마 소재로 활용되면서, 대중들의 관심과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그가 왜 중립책을 고집했는지, 폭군이 아닌, 재평가가 시급하다는 사실, 저는 아쉬운게 지지세력이 부진했던 것입니다. 그의 외교는 오늘 날을 방불케하는 점이 많았습니다. 철저한 국익으로 실용성을 강조하였고, 전쟁을 경험한 왕이라서 그런지, 백성에 대한 애민정신도 높았습니다. 물론 사람이 완벽할 수 없듯이, 단점이 존재하지만 왕으로서 그는 가장 유연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리고 효종은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과 아버지의 성향을 물려받아서 복수의 칼날을 갈다가 일찍 세상을 떠난 왕입니다. 그가 죽으면서 북벌론은 백지화되었고, 우리가 청에게 완전한 사대국이 되는 나라가 되고 말았습니다. 물론 북벌을 했다고 승산이 있었을까? 당대 최강의 나라가 청이였는데 하는 관점이 있겠지만, 끌려다니지 않으려는 모습과 굴욕을 갚으려는 의도가 굉장히 인상깊었습니다. 늘 한반도에 국한된 역사, 침략을 당하는 역사, 분열과 갈등으로 자중지란하는 모습만 보다가, 효종의 추진력을 보면서 신선한 감정이 들었습니다.
여러 왕들이 있겠지만, 너무 알려진 세종대왕이나 영조, 정조대왕 같은 분들을 제외하더라도 괜찮은 왕들이 많았다는 사실, 왕권과 신권의 조화나 대립이 모든 것을 좌지우지했다는 사실까지, 우리에게 조선사는 많은 것을 던져줍니다.
역사의 중요성이 커지고,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진 시점에서 조선왕조를 제대로 인식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어쩌면 조선사를 통해서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는 점이 매우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주변국들과의 관계나 정세, 외교에서 자세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왕들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지만, 내용이 풍부하고, 많은 것을 담고 있어서 역사를 공부하는 관점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많습니다. 접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