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문화 키워드 20
김정남 외 지음 / 문화다북스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의 문화는 우수합니다. 이미 검증이 되었습니다. 한류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우리만의 문화가 이웃 나라들에게 영향을 주더니, 이제는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로 뻗어가고 있습니다. 물론 아시아권이 대부분이며, 유럽이나 아메리카 대륙에는 일부 매니아층만 있다는 말도 있지만, 이 작은 나라가 정말 위상이 달라졌고 많이 발전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국가의 국력이나 국격을 나타내는 잣대가 여러가지입니다. 예전에는 힘이나 전쟁을 통한 지배와 피지배가 단순한 논리로 통용되었다면, 이제는 문화라는 보이지 않는, 가치가 빛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특히 민주주의와 개방, 글로벌화에 동화된 많은 나라 사람들이 이런 영향을 빠르게 받습니다. SNS을 통한 소통과 정보의 교류, 정보의 빠른 전달인 속도감 등 이제는 모든 사회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여있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이같은 발전은 불과 얼마 전의 일입니다. 우리는 경험했습니다. 수 년전 스마트폰을 처음 접하고 사람들의 반응은 나뉘었지만, 결국 국민 대다수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컴퓨터를 활용한 게임이나 문화 등 다양한 역할, 포털사이트의 활성화 등도 그렇습니다.


하지만 변화하는 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은 유행을 선도하며 문화와 정보의 소유에서 앞서나가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편승하거나, 아예 무관심한 사람도 있습니다. 너무 똑같다, 뻔하다의 냉정한 평가가 따르고 있고, 예전의 향수에 대한 그리움으로 옛 것을 더 그리워하며, 지키려고도 합니다. 특히 문화에서도 비슷한 흐름입니다. 얼마 전 방영된 응답하라 시리즈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지금의 20대는 잘 모르겠지만, 30~40대의 사람들은 90년대를 회상하며 추억하고 있습니다. 미디어나 언론도 이러한 패턴을 읽고 많이 알리고 있습니다.


오늘 날 한류가 있기까지, 노력없이 지나온 것도 아니며, 90년대의 문화적인 사건과 인물, 키워드가 있었기 때문에 이를 통한 발전이 가능했습니다. 정확히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경계선으로 볼 수 있고, 사람들의 의식이나 바뀌는 계기도 되었습니다. 처음 힙합을 접했을 때의 놀라움, 전혀 다른 패턴의 연예인과 가수들의 등장, 이를 통한 한 분야에 고착된 활동이 아닌, 만능의 시대로 도래하는 모습, 정치적인 이슈나 사건에 대해서 침묵했던 과거와는 전혀 다른 오늘 날의 모습 등 많은 것이 진보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의 가슴과 머리에 깊이 박혀있는 것도 당시의 충격이 강했고, 새롭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그런 독자들을 위한 추억소환이라고 평가하고 싶습니다. 화려했지만, 금방 지나간 지난 세월, 1990년대 문화키워드를 통해서 오늘 날과 비교하며, 발전과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것이 발전했지만, 사람들이 느끼는 공허함, 예전이 좋았다는 추억에 대한 연민 등 다양한 감정이 생길 수 있겠지만, 너무 극과 극의 평가를 내릴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가 걸어왔던 과정이라고 생각하며 받아들이면 그만입니다. 이를 통한 정치적 해석이나 폄하는 자제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문화가 주는 파급효과는 대단합니다.


최근에는 정치적인 이슈와 결합하여 대중들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쉽게 풀어내지 못하는 부분, 말하기 힘든 부분에 대한 풍자, 함께 소통하며 정의와 불의의 기준을 나누면서, 사람들이 문화를 우리만의 방법으로 재해석하고 있습니다. 이는 문화가 그 본질 자체로 묶여있는 것이 아닌, 다양한 분야나 산업으로 빠르게 퍼지면서 또 다른 결집을 유도하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단순한 추억팔이와 감성자극이 아닌 예전의 시대를 반추하며 현재와 미래를 해석한다는 저자의 의도가 명확하며, 바쁜 세상을 살아가지만, 잠시 멈춰서 돌아보는 계기도 될 것입니다. 접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