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골 사람들, 최용신을 말하다
윤유석 지음 / 길위의책 / 2017년 1월
평점 :
품절


역사적 인물과 소설의 만남, 흔히 아는 인물은 아닙니다. 소설 상록수는 들어보셨을 겁니다. 최용신 실제 인물이며 그가 작지만 크게 남긴 생애를 조명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우리는 일본의 수탈로부터 자유롭지 못했고 물적, 인적자원의 수탈이 극심했습니다. 가령 일제강점기 독립운동하면 독립투사를 먼저 떠올립니다. 분명 임팩트있었고, 워낙 큰 사건을 만들어서 그렇습니다. 하지만 이름없이 조용히 독립운동과 조국을 생각하며 살아갔던 많은 인물들이 있습니다.


이제는 이분들에 대한 기억과 존중의 마음을 가질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광복은 우리나라에게 새로운 희망과 오늘 날을 있게 했고, 젊은 이들 사이에서 광복과 강점기 시절에 대한 기억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한국사의 열풍과 역사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시 재조명받는 인물들이 많지만, 더욱 깊이있는 공부와 그들의 생애를 알아야 합니다. 총과 칼로써 조국 독립에 앞장선 인물들도 많지만, 자신의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역량을 펼치면서 일본에 맞선 사람들이 많았다는 사실입니다.


특히 조선왕조는 많은 재평가를 받습니다. 조선 후기를 정점으로 내리막을 걸었고, 쇄국정책과 개혁과 개방에 실패하면서 근대화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항상 내부적인 요인으로 외부의 침략에 대응하지 못하고 망했던 조선의 역사, 폄하하려는 의도는 없지만, 조선의 멸망이 무조건 일본의 탓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능함이 극에 달했습니다. 철저한 유교와 성리학 이념으로 다른 모든 것을 배척했고, 기득권은 백성들을 외면했지만, 백성들은 스스로 나라를 지키면서 투쟁했습니다.


이런 극심한 양극화는 나라의 멸망으로 이어졌고, 일본의 손쉬운 개입과 침략으로 강점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또한 정치의 불안, 사회의 불안정이 배운 자와 못배운 자의 차이를 양산했고, 단합을 이룰 수 없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특히 당시의 10년은 향후 100년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시기였기에 안타까움이 더합니다. 글을 알지 못하는 문맹인이 너무나도 많았고, 근대적 교육보다는 일본에 의한 식민사관에 젖어들게 됩니다. 이런 와중에 최용신은 농촌으로 들어가서 계몽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쳤습니다.


일본어가 대부분이던 교육현실, 조선어를 가르치면서 사람들의 의식을 높였고, 조국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오늘 날도 교육이 중요하지만, 당시는 교육이 필수적이였습니다. 일본의 민족 말살정책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필요했습니다. 물론 독립이 급했던 입장에서 언제까지 계몽운동만 할 것인가에 대한 회의도 있었지만, 아무 것도 모르던 일반 대중들에게 계몽교육은 가장 중요한 덕목이였습니다. 결과론적으로 조국광복을 맞이하지만, 일제 36년은 힘든 시기였고 각자의 노선 차이로 분단이라는 아픔을 또 다시 겪게 됩니다. 


이 책은 당시의 시대상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우리가 아는 인물보다는 모르는 인물들이 훨씬 많고, 중요도를 두면서 편식할 것이 아닌, 나라를 위해서 노력했던 사람들을 더 많이 찾고 기억해야 한다는 자극을 줍니다. 아무 것도 없던 무에서 유를 만들어낸 오늘 날의 한국, 이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고 역사적으로도 큰 교훈을 줍니다. 또한 일제강점기를 다른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었고, 위인들의 생애가 아닌 일반적인 사람들의 수준이나 의식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최용신을 통해서 아픈 역사의 시절을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