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티브 - 남들보다 민감한 사람을 위한 섬세한 심리학
일자 샌드 지음, 김유미 옮김 / 다산지식하우스(다산북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감한 사람을 위한 심리학, 책의 내용이 대충 짐작이 가실 겁니다.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민감하다, 예민하다고 생각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이를 바라보는 시선을 대개가 부정적입니다. 왜 저렇게 피곤하게 살지? 굳이 저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등의 반응이 다수입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기준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그들의 본 모습과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을 안다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저자는 민감함이란 피곤한게 아닌, 조금 특별한 능력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들이 피해를 주거나 나쁘다는 해석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세상을 살다보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모두가 천편 일률적으로 같다면 좋을까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창의력은 사라지고 발전은 없을 겁니다. 남들과 다른 것을 추구하는 것은 사회의 공익이나 발전을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예민한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이 찾지 못하는 것이나 몰랐던 부분에 대해서 자신들이 개척하고 발견합니다. 이는 크게 보면 아주 좋은 현상입니다. 다만 일상적인 대인관계나 사람들 사이에서는 조금 피곤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가령 상사가 너무 예민하면 부하직원이 피곤하듯, 부모가 너무 철두철미하면 자식이 피곤한 것처럼 말입니다. 하지만 그들이 추구하는 것이 우리와 다르지 않고, 오히려 더 나은 부분도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예민하다는 것은 반응이 빠르고 항상 관리나 신경을 쓴다는 것입니다. 이는 자기계발에도 유용하며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다만 우리의 편견과 인식이 부정적이라서 그렇게 보여지는 것이지, 그들이 나쁘다고 볼 수 없습니다.


또한 민감함을 무기로 다양한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나 실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자기관리와 자기계발에 좋으면 좋지, 나쁜 것은 없습니다. 무엇보다 그들은 자기 자신을 너무나도 잘 알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고 노력합니다. 어중간하거나 애매한 태도보다는 명확함을 추구하기에, 성향상 발전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대인관계에서 쉽게 지치거나, 사람들에게 평판이 나쁠 수 있지만, 이는 그저 평판일 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어차피 삶이라는 긴 시간동안 우리는 자기 자신과의 싸움입니다. 모든 것의 기준은 스스로를 이기냐, 포기하느냐의 차이입니다. 남과의 비교가 무의미한 것이 바로 이런 부분에도 적용됩니다. 또한 본질을 망각하거나 흐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만, 항상 나아지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직업을 고를 때도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자신에게 딱맞는 직업군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이런 점을 부러워하는 사람들도 많고, 신기하게 바라보는 눈도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나와 다르다고 해서 틀린 것이 아닌, 다를 뿐이라고 생각하며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나와 같다면 오히려 더 피곤한 것이 많습니다. 약간의 차이가 서로를 이해하거나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며, 의견을 조율해서 보다 나은 결과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사람들의 유형인 만큼, 편견보다는 조화롭게 나아가려는 방향성이 중요합니다. 이 책을 통해서 내가 그런 것은 아닌지, 아니면 내 주위에 이런 유형이 있다면 알아보겠다는 접근이 좋아보입니다. 심리적인 부분이나 실생활적인 부분 등 다양함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