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 河內 일본에 남은 문화강국 백제의 발자취 1
양기석.노중국 외 지음 / 주류성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와 일본은 역사적으로 많은 희노애락이 서려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중국 못지않게 밀접한 영향을 주고 받았고, 때로는 서로가 경쟁하면서, 혹은 앞서 나가면서 많은 자극과 파급력을 주고 받았습니다. 이 책은 그런 점에서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생각의 폭을 넓혀 줄 책이라고 생각됩니다. 일본 고대 문화의 발전상과 한반도에 존재했던 해상왕국 백제의 연관성을 다루면서 고대사에 대해 새롭게 해석하고 몰랐던 역사적 지식이나 정보를 제공해 줄 것입니다.


우리나라 삼국의 역사는 고구려와 백제, 신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가야나 전문적, 시기적으로 들어가면 더 많은 왕국들이 있었지만 삼국시대는 저 세 나라를 의미합니다. 중국과의 역사 갈등으로 고구려에 대한 언급이 지금은 많이 자제되고 있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고구려와 신라에 대한 사극이나 드라마, 이를 배경으로 각색된 문화컨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백제에 대한 언급과 다루어짐은 적었습니다. 아무래도 사료나 부족하거나 불분명한 부분이 많아서 그런 것도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배우는 한국사나 역사책에도 백재에 대한 언급은 특정 시기나 왕들을 중심으로 이어가고 있고, 확실하지 않고 부족한 사료 때문에 애를 먹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백재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기존의 틀에 박힌 역사보다는 조금 더, 넓고 크게 보려는 시도나 접근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백제사를 알수록 일본이라는 나라는 가깝게만 느껴집니다. 고구려나 신라, 발해, 가야 등 여러 왕국들이 일본에 영향을 준 것도 사실이지만 백제만큼 유대가 끈끈하고 가까운 국가는 없었습니다. 


일본의 고대사를 보더라도, 백제를 일본으로 옮겨 놓은 듯한 착각마저 불러 일으킵니다. 실제로 일본의 역사학자들이나 우리의 사학자들도 고대 일본 문화와 왕국의 건설, 발전 상을 보면서 백제가 큰 파급력을 줬다고 보고 있습니다. 백제의 멸망을 기점으로 이런 점이 두드러졌고, 많은 백제인들이 일본으로 건너가 새로운 문화를 꽃피웠고, 일본이 가지지 못했던 기술이나 문화, 종교 등 다양한 방면에서 새롭게 발전시켰고, 한 차원 더 끌어올렸습니다. 이 책은 그런 점들에 대해 역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일왕이 매체를 통해 밝힌 사실도 화제였습니다. 자신의 출신이 백제의 후손이며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입니다. 그리고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도 우리나라가 점점 발전하고, 한일 관계가 새롭게 재정립되면서 조금씩 자신의 신분이나 혈연, 출신에 대해 고백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관련이 크고, 특히 백제와 유대를 강조하면서 서로 같은 뿌리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일본을 우리가 만들었다, 혹은 일본은 백제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르며, 확대 해석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드러나는 모습이나 모든 면에서 백제와 일본은 정말 가까웠고, 거의 같은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는 많은 부분에서 공감이 가실 겁니다. 지금은 우리가 문화적으로 한류의 열풍을 타고 아시아 전역에서 많은 파급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 과 10년 전에만 해도, 상상도 못했던 일이며 일본이 이미 경험했던 문화에 대한 점, 우리의 문화가 일본의 문화를 모방한 점 등 서로가 배우고 성장하면서 지금까지 이르게 됐습니다. 역사도 이와 비슷한 맥락이 많습니다. 


산업화, 근대화 이전의 일본은 우리와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많았고, 오히려 우리가 우수함을 펼치면서 많은 영향을 줬습니다. 그 과정에서 백제와 일본의 관계가 부각될 수 있었고, 역사적으로 연구의 가치가 높은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만큼 가장 가깝지만 멀게만 느껴지는 일본. 이 책을 통해 우리 고대사와 일본의 고대사가 어떻게 닮아있고,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하는지 알아 보는 것도 역사를 배우는 과정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쟁과 외환이 많았던 우리에 비해 일본의 문화나 유적지는 보존 상태도 매우 좋고, 많은 부분에서 우리 한국사를 새롭게 정립하거나 배우는 데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읽어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