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은 어떻게 미술이 되었을까? - 그림으로 읽는 한 점의 인문학 사고뭉치 12
공주형 지음 / 탐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 문명의 발전사를 보면 놀라움의 연속입니다. 인간은 그 어떤 어려움에 맞서서 물러나지 않고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었고, 삶을 윤택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습니다. 이런 문명의 발전사를 새롭게, 혹은 제대로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미술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미술을 예술의 한 분야로만 볼 수도 있겠지만, 미술을 바라보면 인류의 역사와 문화, 예술, 미적 감각 등 다양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 작품 안에서 느끼는 감정이 다 다르듯, 문명의 역사에도 빠질 수 없는 것이 미술입니다.


이 책은 미술이라는 장르에 담겨진 문명사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으로 근대는 많은 변혁의 시기였습니다. 인권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대두되었고, 새로움을 갈망하고 만들어내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습니다. 인간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이 동원되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기존의 신처럼 여겨지던 왕권이 무너진 시기이며, 인간 본질에 대한 연구와 관찰이 재조명받거나 새롭게 등장하였습니다. 


계급 계층과 피지배 계층 간의 본격적인 대립으로 많은 국가의 교체와 흥망이 좌우되었습니다. 예술이 주는 의미는 남다릅니다. 힘의 정치나 권력에서 벗어나, 그들을 비판하거나 심판하는 입장에서 예술이 활용되었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역사가 남긴 많은 문화재와 예술품에 대한 평가와 고증이 이뤄졌고, 현인들의 모습에서 교훈과 희망, 현재의 문제들을 풀려고 했습니다. 글을 통한 기록의 역사 못지않게 미술이 주는 그림 한 장이 때로는 더 큰 파급력을 자랑하기도 합니다. 


기존의 미술사를 보더라도 권력을 가진 자들의 향유물로 봐도 무방합니다. 그들 만의 역사를 위해 활용하거나 이긴 자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이 책에 담긴 모습은 시기를 고려해서 그런지, 서민들의 모습이나 자연에 대한 모습, 인간이 살아가는 담백한 모습을 많이 담아내고 있습니다. 모든 학문이 홀로 독단적인 모습이 될 수 없듯, 문명사를 볼 때도 많은 부분이 서로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술의 하나로만 치부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 할 것인가? 


고민해보게 되는 책입니다. 이 시기의 미술사나 문명사, 역사가 오늘 날의 모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만큼, 읽어 볼 만한 가치가 높은 책으로 보여집니다. 책의 구성이 어렵지 않고 누구에게나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인문학이 강조되고 융합형 결과물이나 인재가 대두되는 만큼 미술을 통해, 인류 문명사를 알고 배우는 것은 중요합니다. 책이 주는 자체의 모습에서 예술로 보일 수도 있겠으나, 저는 역사의 연속이라고 평가내리고 싶습니다. 


인문학에 대한 어려운 접근보다는 독자들이 누구나 쉽게 다가가며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책이 바로 그림으로 삽화가 많이 된 책이 아닌지, 이로 인한 많은 영향이나 다른 학문으로의 전이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명사에 대한 연구는 지금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사료적 가치도 있겠지만 예술적 가치도 높다고 보입니다. 역사와 미술을 적절하게 융합시킨 이 책을 통해, 많은 것을 얻어가는 것도 괜찮은 방법으로 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