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어떻게 권력을 잡았나 - 정신의학자이자 여섯 아이의 아버지가 말하는 스웨덴 육아의 진실
다비드 에버하르드 지음, 권루시안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잘 아는 복지국가 스웨덴의 이야기입니다. 많은 젊은 이들이 이민가고 싶은 선진국 중에 하나입니다. 교육과 복지, 삶의 질이 상당히 높은 나라로 소문이 자자합니다. 하지만 이 스웨덴도 아이들에 대한 교육과 육아 방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목이 자극적이라 무서운 느낌도 들지만 책의 내용은 공감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우리와는 문화적인 차이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있겠지만 작가가 말하는 의도는 쉽게 넘길 사안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요즘, 뉴스를 통해 많은 사건들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부모들이 아이를 때리는 가정폭력이나 심하게는 살인으로 이어지는 문제들이 자주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이러한 문제가 우리 사회에도 많은 고민을 하고 노력해야 하는 사회문제로 대두되었습니다.


사람간의 소통은 정말 힘든 것입니다. 더군다나, 아이를 이해하고 확실하게 교감한다는 것은 더더욱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인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게 됩니다. 스웨덴에서 온 이 책은 권력이라는 다소, 무거운 단어를 이용하여 부모와 아이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많은 것들을 전하고 있습니다.


아이를 무조건적으로 받아줘야 하는가? 아니면 아이를 엄하게 키워야 하는가? 내적갈등이 올 것입니다.

교육의 관점에서도, 육아의 관점에서도 정말 확실한 답이 없는 문제같습니다. 우리의 정서는 부모들이 희생을 하며 아이들을 지극정성으로 키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이같은 과잉보호는 아이들이 버릇없는 어른으로 성장하게 하고, 독립적이고 못한 의존적인 사회구성원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작가는 이러한 부분을 지적하며 부모들의 권리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어느정도 공감갔지만 100% 이해는 못했습니다. 남의 자식이라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자신이 낳은 자식이면 감정에 치우쳐 질 것 같습니다. 객관적으로 대해야 하고 감성보다는 이성적으로 대해야 아이들이 버릇을 고치고 부모도 편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역으로 생각해보면 어린 시절부터 확실한 교육관과 철학을 가지고 꾸준하게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가능 할 것도 같습니다. 애매한 태도로 아이들이 헷갈리지 않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엄하게 대할 때는 확실히 엄하게 대하고 풀어줄 때는 풀어주는 그런 태도입니다. 이론적으로 말이 쉽지만 현실적인 행동으로는 많이 힘들 것입니다. 스웨덴에서도 갈등하는 것이 바로 이런 부분입니다. 

전 세계를 통틀어도 부모의 마음은 같고 자식들의 성향도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동양과 서양의 관점적인 측면을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봐도 정말 어렵고 난해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아이들을 위해서 희생하는 부모가 될 것인가? 아니면 아이들을 다스리며 부모들의 권리를 누리며 살 것인가? 중간적인 입장을 계속 연구하며 확실한 답을 얻어야 하는가? 사회적 문제로 생각하고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여겨집니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자신만의 주관이 어느정도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육아전문가가 무조건 맞을 수 없으며 남의 이야기가 답이 될 수는 없습니다. 참고는 할 수 있겠지만 우리 아이에게 적용이 된다는 것은 말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사회적인 문제로 커져버린 부모와 아이의 문제, 우리 사회가 다같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 


굳이, 아이들이 없더라도 이해하고 알고 싶은 분들도 한 번 읽어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부모의 관점도 중요하지만 어른의 관점에서 보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선진국가라고 여긴 스웨덴에서 이런 문제가 있다는 것에 놀랐으며 우리도 곧 머지않아 닥칠 문제라고 생각되기에,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입니다.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