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학생들은 더 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파리드 자카리아 지음, 강주헌 옮김 / 사회평론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제목이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중의적인 표현이 강하게 드니까요. 이 책은 논쟁의 소지가 있으며 가치관에 따라서 호불호가 나뉠 것 같습니다. 우리가 높이 평가하는 하버드 학생들은 지금 무엇을 공부하느냐? 책의 제목에서 하버드라는 단어와 인문학이라는 단어가 눈에 바로 들어 올 것입니다.
관심을 끌기에는 충분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많은 이들이 인정하는 최고의 인재들이 생각하는 교육과 학문에 대한 생각이 궁금증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말하자면 미국과 우리는 교육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와 개인의 학습태도, 영향 등 많은 부분이 다릅니다. 유사한 부분도 많으며 교육에서 만큼은 서로가 닮으려고 하는 것도 있습니다.
몇 해 전부터 우리는 인문학 열풍이 불어서 유사한 책들이 엄청나게 출판되었습니다. 지금도 서점가에서 인문학의 인기는 유지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즐겨보며 기업에서도 교육계에서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다릅니다. 그들만의 인문학을 교양으로 유지를 하면서도 자연과학이나 수학 등 실용적인 학문에 더 관심을 두었고 지금도 현재진행형입니다. 서로가 상반된 길을 가고 있어서 걱정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고전에서 배우는 오늘과 미래를 전망하며 배우는 오늘의 갭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인문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이자 문으로 통합니다. 인문학을 알면 모든 학문으로 발을 들여 놓고 얼마든지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인문학은 정답을 추구하고 오답에 대해서는 냉정한 면도 지니고 있습니다. 성공한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평가는 주로 승자와 기록에 의존하게 되어있고 나머지에 대한 부분은 강조하지 않습니다.
물론 인문학을 폄하할 의도는 아니지만 제가 느낀 감정은 그렇습니다. 인문학에서 나오는 역사와 선인들의 지혜를 빌려 현재의 모순과 문제들을 해결하고 건실한 미래를 지향하고자 하는 의도는 생각이 같습니다. 하지만 인문학에만 집착하면 많은 것을 놓치고 창의력이나 사고의 발전에 저해되는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융합이라는 단어가 뜨는 것 같습니다.
우리의 모습에서 부족한 부분은 실용적인 면이나 합리적인 면, 생각하고 행동으로 만들어내는 능력 등이 그럴 것입니다. 반대로 미국은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적어지고 너무 자연과학에만 관심과 인재가 몰려서 고민이라는 것이 아이러니하게 다가옵니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선도하는 국가의 인재들이 무조건 옳다고만 볼 수도 없는 것 같습니다. 이런 모습을 보면 항상 상대적인 것을 부러워하는 심리가 작용하는 것도 보입니다. 항상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는 욕망이 그것입니다.
실용과 고전이라는 양자택일의 관점에서 오는 애매한 모습이기도 합니다. 이런 모습을 보고 있으면 머지않은 시대에 융합은 모든 것을 아우르는 의미로 강하게 다가 올 것입니다. 하지만 융합이 쉬운 것도 아니며 너무 어려운 철학적인 의미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정리가 필요해 보이지만 방법론이 마땅히 떠오르지는 않습니다. 학문에도 트렌드가 있다면 지금의 트렌드는 실용이라고 생각됩니다.
자본주의와도 귀결되며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인문학은 현실과는 괴리가 멀다는 저평가의 시선도 많고 사상과 이념의 자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도 갖고 있습니다.
무엇이 옳고 그르냐의 판단은 힘들겠지만 생각을 하게 하며 중요한 메시지를 던져줍니다. 바로 교육과 학문에 대한 관심입니다. 고민과 시도, 노력을 바탕으로 이런 문제점들이 정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이 제시 될 것이며 서로가 시너지효과를 내는 제도의 마련이 필요합니다.
경제의 논리에만 입각해, 다양성이 묻혀버리거나 무시되는 모습은 불행한 사회의 단면입니다. 이공계의 지나친 부각으로 인문계는 바닥을 향해 추락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도 깊게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인문학이라는 열풍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져서 현실적인 부분의 여건 개선과 더불어 같이 상생한다는 이미지를 준다면 더 할 나위가 없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쉽게 생각한다면 쉬운 문제일수도 있는 하지만 서로의 관점에서 생각한다면 정말 난해한 문제일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융합이라는 단어가 정말 가치있게 다가 오도록 현실적인 방안이 필요합니다. 흔해빠진 단어의 의미로 퇴색되는 것을 막고 기술과 인문학의 결합으로 교육의 질적 환경을 개선하고 다양성이 존중받고 생각과 지식의 공유가 자연스러워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려고 노력을 해야합니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존재하고 강점이 있으면 약점도 있습니다. 비슷하지만 다른, 유사하지만 차이가 분명한 것은 존재합니다. 문제는 이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능력에서 갭이 생긴다고 생각됩니다.
교육과 학문에 대한 질문과 대답에서 많은 것들을 보았습니다. 또한 책 한권으로 많은 것을 떠올리며 고민하게 되어서 좋았습니다.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