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다카하마 교시 지음, 김영식 옮김 / 소명출판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과 일본은 라이벌이자 동반자입니다. 100년 전 우리는 역사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제국주의 일본에 의해 식민지 지배를 당했기 때문입니다. 얼마 전, 광복절 지났습니다. 우리 선조들의 독립에 대한 경건한 마음과 애국심을 잊지 말고 기억해서 두 번 다시 아픔을 되풀이 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책은 일제 치하의 우리나라 모습에 대한 얘기들을 바탕으로 그린 소설입니다.

소설을 좋아하지 않는 저에게는 역사에 대한 궁금증이 이 책을 보게 하였습니다. 일제가 남기고 간 아픔은 지금까지도 곳곳에서 찾을 수 있고 볼 수도 있습니다. 역사에 대한 잘못된 교육으로 정체성에 대한 혼란가 우리 민족을 비하하고 폄하하는 사람들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식민사관의 무서움입니다. 엉터리 역사를 날조하여 가르치는 것은 잘못된 일입니다. 우리가 수동적이며 일본이 아니였으면 근대화를 하지 못했다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는 사람들도 있고 심지어 사학자들 사이에서도 그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일본인이 바라 본 조선에 대한 서술과 기록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이 책은 읽어 볼만한 가치가 있는 책입니다.

일본에도 양심적인 학자들과 연구가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하기보다는 우리 조선의 서민들의 생활 양식과 시대적인 생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가볍게 읽어 보기에는 좋은 책이지만 소설에는 허구가 존재하기 때문에 감안해서 읽어야 할 것입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조선여자에 대한 호기심과 연구가 강했는지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시대를 막론하고 여인들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똑같나 봅니다.

​그리고 일본인이 서술해서 그런지 우리 조선의 아름다운 풍경을 상세하게 그리고 있습니다. 삼천리 금수강산에 반한 모습이 자주 등장합니다. 섬나라의 특징이라 그런지, 더욱 아름답게 보였나 봅니다.

근대화에서는 성장하지 못했지만 우리만의 방식으로 살아간 많은 사람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으며 농업을 중요시하며 예의와 유교적인 문화를 숭배하는 모습도 그대로 반영됩니다. 일본인이 객관적으로 서술하며 흥미를 덧붙인 책이라서 한계도 있지만 식민시절을 묘사했다는 점에서 가치있는 책입니다. 추천합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