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강대국은 책임지지 않는가 -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하여
비비안느 포레스테 지음, 조민영 옮김 / 도도서가 / 2025년 3월
평점 :


지금도 계속되는 다양한 형태의 분쟁과 전쟁으로 인해 전 세계사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 특히 우리가 잘 아는 러우전쟁을 비롯해 여전히 갈등의 요소가 많은 이팔전쟁을 보더라도 말이다. 이에 책에서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및 전쟁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고, 이들의 갈등이나 대립적 구도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도대체 왜 이런 형태의 잔존이 지금까지도 남아있는지, 책을 통해 접하며 배우거나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팔전쟁의 경우 그 원인과 뿌리를 찾고자 한다면 역사적인 접근과 문화적, 종교적인 부분에 대한 이해도가 필수적이라는 점도 참고했으면 한다.
<왜 강대국은 책임지지 않는가> 세계사를 보더라도 분쟁이나 전쟁의 시발점이자 원인의 경우 대부분 영국이 개입되었다는 점을 알게 될 것이다. 지금은 미국이 그 뒤를 이어서 자신들의 논리나 이해관계를 통해 다양한 국제관계나 질서에 대해 개입을 하고 있고, 이팔전쟁의 경우에도 미국과 영국 등의 강대국들이 얼마나 자신들의 논리나 이익을 위해 투쟁한 역사가 남아있는지도 읽으며 체감하게 될 것이다. 물론 서로 다른 입장과 이해관계가 존재하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보더라도, 무조건적인 그리고 지나친 비약이나 일반화는 경계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입장에서는 이들의 상황과 갈등적 요인에 대해 배우며 이를 우리의 문제로 가져올 경우에는 어떤 형태의 대응 방안이나 참고해야 하는 의미가 있는지, 이에 대한 연결고리가 중요할 것이며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중동 정세와 문제, 전쟁적 상황에 대해 예전보다 더 빠르게 배우며 접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그 관심도나 인지도가 올라간 것도 사실일 것이다. 요즘 시대에 누가 전쟁을 해? 라는 말을 무색하게 할 정도로 최근 국제질서나 정세, 패권적인 모습을 보더라도 평화의 시대는 끝났다는 점도 읽으며 느끼게 되는 부분이다.
<왜 강대국은 책임지지 않는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경우에도 강대국들의 논리에 휘둘리지 않고자 부단한 노력을 했음에도 지금과 같은 상황과 결과를 마주하게 된 것이다. 이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며 어떤 형태로 한반도 정세나 문제, 정치적, 외교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함께 접하며 더 나은 가치 판단과 대응을 해나갈 것인지, 이 책을 통해 접하며 판단해 보자. 항상 인기 있는 주제이지만 깊이 있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이팔전쟁과 분쟁에 관한 가이드라인, 이 책이 갖는 특장점일 것이며 해당 주제와 키워드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접해 볼 것을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