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과를 내는 강점 전략
다나카 유이치 지음, 이성희 옮김, 서승범 감수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5/pimg_7884981894582952.pn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5/pimg_788498189458295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5/pimg_7884981894582954.jpg)
이 책은 제목만 본다면 단순한 자기계발서나 관련한 논리의 정리집 정도로 여길 수도 있지만 생각보다 더 체계적인 관점에서 어떤 형태로 일하거나 학문적 배움이나 공부의 과정, 혹은 자기관리의 형태를 갖춰야 하는지, 이에 대해 자세히 진단하고 있어서 배울 점이 많은 책일 것이다. <성과를 내는 강점 전략> 아무래도 실무적, 현실적인 부분에 있어서 고민이 깊거나 문제를 해결, 주도적인 관리를 이루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맞춤형 자기계발서로 볼 수 있는 책으로 궁극적으로는 자기 분석이나 경영 등에 있어서도 참고할 만한 주요 메시지가 다수 포함된 책이라는 점도 함께 생각해 봤으면 하는 책이다.
<성과를 내는 강점 전략> 특히 누구나 갖고 있는 능력이나 재능, 혹은 잠재력에 대해 때로는 과대평가 하거나 그 반대적인 판단으로 인해 좋은 기회를 놓치거나 자신에 대한 신뢰를 잃기도 하는 법이다. 그만큼 현실에서는 이론적으로 배우거나 공감한 부분을 적용하기가 말처럼 되는 것도 아니지만 그럼에도 언제까지 외면하거나 포기만 할 수도 없는 현실이라면 이 책을 통해 배우며 함께 판단하거나 자신에 대해 재편해 보는 시간과 과정을 갖는 것도 좋은 형태의 판단일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5/pimg_788498189458295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5/pimg_7884981894582956.jpg)
책의 저자도 어려운 의미보다는 직관적인 요소를 더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와 자료를 첨부하고 있으며 이런 과정에서 우리가 자연스럽게 여기거나 당연하다고만 생각했던 부분에 대해서도 함께 점검해 볼 수 있을 것이며 이런 과정은 거의 모든 분야에서 통용되는 기본값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해서, 더 세심한 주의와 관리가 요구된다는 점도 읽으며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성과를 내는 강점 전략> 초경쟁 시대와 현실에서 이에 대한 예민함도 좋지만 때로는 연결과 소통의 가치, 공감대 형성 등을 이뤄야만 더 높은 곳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법이다.
이 책도 이런 본질적 기본기가 가치 판단, 그리고 개인 단위에서는 어떤 형태로 해당 키워드에 대해 이해하며 높은 수준에서의 접근과 활용 등을 함께 고려해 나가야 하는지도 자세히 알려주고 있어서 현실적으로 더 와닿는 자기계발서일 것이다. <성과를 내는 강점 전략> 또한 다양한 유형의 인간상이나 리더십, 일처리 방식 등에 대해서도 비교하며 알아 볼 수 있다는 점도 실무를 위한 괜찮은 가이드라인으로 와닿을 것이다. 어렵지 않고 오히려 더 직관적인 요소가 많은 책이라서 관심이 있다면 함께 접하며 공감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어떤 형태로 강점을 말하는지, 그리고 진정한 강점이 갖는 특장점과 의미 등은 무엇인지도 함께 접하며 판단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