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이 기후다 - 존재론적 인류학의 기후 실천
김태우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4년 1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127/pimg_788498189450918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127/pimg_7884981894509187.jpg)
이미 많은 이들이 자세히는 몰라도 이게 어느 정도로 위험하며 우리가 살아가는 앞으로의 미래에 있어서도 중요한 문제인지는 어느 정도 알 것이다. 그만큼 기후나 기온과 관련한 이상 증상의 경우 우리 모두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제공하며 급변하는 환경 변화나 새로운 위험, 변수 등의 관점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예측과 우려가 높다는 점에서도 책에서 표현되는 부분이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이를 개인 단위에서는 어떻게 이해하거나 배워야 하는지, 이에 대해 몰입하며 판단해 보는 것도 좋은 접근일 것이다.
<몸이 기후다> 책에서는 기본적인 기후 변화 및 위기적 상황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를 비롯해 이를 막거나 더 나은 방향성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노력에는 어떤 것들이 주요할 수 있는지도 자세히 표현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해당 분야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나 대중적인 관점과 시선에서도 배울 만한 요소가 많은 가이드북이라는 점도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책이다. 물론 개인 단위에서도 아무리 배우며 노력하더라도 더 많은 이들의 참여와 관심이 중요하며 때로는 국가나 정보, 기업 등의 강한 주체들이 나서야 한다는 점에서도 그 한계가 명확하다는 지적과 평가도 있지만 분명한 사실은 이런 방향성 자체가 주는 의미가 결국 그렇게 흘러가고 있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해야 할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127/pimg_7884981894509188.jpg)
<몸이 기후다> 책에서도 이런 보편적 가치와 정서를 통해 기후 위기 및 변화적 상황에 대해 소개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 몸과 관련한 구체적인 사례와 예시를 통해 표현하고 있는 점이나 탄소중립이나 인류세 도입, 그리고 플라스틱 및 쓰레기 문제로 인해 어떤 문제가 여전히 산적해 있는지도 자세히 소개하고 있어서 이를 이해하는 관점에 있어서도 크게 어렵다는 의미보다는 어떤 형태로 공감대를 형성, 이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나 변화가 요구되는지도 함께 접하며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자연 현상이나 환경, 생태 변화 등의 문제의 경우 요구되는 부분도 많고 모두가 합심해서 해야 하는 부분, 그리고 경제적인 논리나 가치 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도 어렵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일 것이다. 그럼에도 기후위기 및 변화적 상황에 대해 계속해서 언급되는 이유가 무엇이며 우리 인류 전체를 보더라도 어떤 형태의 미래가치나 공감, 공유의 시간과 자세를 함께 가져야 하는지도 책을 통해 배우며 이를 현실적인 기준과 관점에서도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또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더 쉽게 체감, 공감되는 책이라는 점도 참고했으면 하며, 잘 정리된 형태로 소개되는 책이라 해당 주제와 키워드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추천 할만한 책일 것이다. 함께 읽으며 판단해 보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127/pimg_788498189450918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