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으로서의 정치·직업으로서의 학문 현대지성 클래식 57
막스 베버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같은 시기에 읽고 배우기 좋은 사회사상 및 철학 관련 조언서일 것이다. 책에서 표현되는 정치나 학문이라는 의미가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며 막스 베버라는 인물에 대해 잘 아는 분들도 있지만 구체적으로 모르는 분들이 더 많다는 점에서도 이 책은 확실히 배우며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모순이나 한계, 각종 현실문제 등에 대해서도 적용하며 함께 판단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괜찮게 다가오는 책일 것이다. <직업으로서의 정치 직업으로서의 학문> 책에서는 개인의 생애를 통해 바라본 당시의 독일 사회와 주변 환경적 요인 등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흔히 우리가 아는 독일이라는 나라의 경우 모든 산업에서의 기본기가 탄탄하며 매우 실용적인 노선을 추구한다는 점을 체감할 것이다. 이런 국민들의 정서나 사람들의 행위에 있어서도 정치나 철학, 학문적인 영역은 절대적인 기준이자 영향력을 가진다는 점에서도 올바른 사회가 정착되거나 다양한 인재들이 배출되는 과정에 있어서도 사회사상이나 정치가 갖는 의미가 대단히 중요하다는 점도 체감해 보게 된다. <직업으로서의 정치 직업으로서의 학문> 물론 지난 과거나 역사적인 느낌도 지울 수 없고, 때로는 이런 과정을 통해 탐구하며 배워나가는 과정에서 더 많은 현실문제를 조명하거나 해결해 볼 수도 있는 법이다.








즉 막스 베버가 말하고 경험했던 가치나 사상에 대해 받아들이기 어려운 분들도 있겠지만, 그가 말하고자 했던 사회의 모습이나 이상향, 그리고 본질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이에 대한 몰입의 시간을 통해 해당 도서를 접한다면 더 쉽게 접하며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직업으로서의 정치 직업으로서의 학문> 다양한 직업의 세계에 대해서도 마주할 수 있고 한 사회가 구성되는 과정에서의 국가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사람들은 어떤 영향력과 공감대 형성 등을 통해 또 다른 미래가치를 그리거나 현실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지도 파악해 볼 수 있어서 집약적인 형태로 다가오는 사회학 관련 도서로도 볼 수 있는 책이다.

<직업으로서의 정치 직업으로서의 학문> 주로 깊이 있는 내용이나 생각을 해야 하는 과정이 많다는 점에서도 다소 어려울 수 있다는 점도 참고할 만한 부분이며 우리 사회가 갖는 현재성이나 문제 등에 대해서도 함께 접하며 비교, 분석해 볼 수 있다는 점도 괜찮게 다가올 것이다. 결국 정치가 변해야 다양한 사회적 영향력과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도 체감할 것이며 개인 단위에서도 충분히 접하며 배움의 가치로도 승화할 수 있는 책이라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함께 접하며 판단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