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위기 정치연구총서 4
조찬수.권혁용 지음 / 버니온더문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를 비롯해 요즘 전 세계적 이슈이자 문제점, 혹은 새로운 변화가 필요한 영역인지도 모른다. 책에서는 민주주의가 무엇이며 어떤 형태로 정의할 수 있는지를 전하며 기존의 역사적 관점이나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조언,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어떤 가치 판단과 사회적 합의를 통해 더 나은 방향성을 바탕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도 자세히 전하고 있다. <민주주의 위기> 특히 요즘처럼 전쟁과 내전, 각종 분쟁적 상황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현실에서 민주주의에 대한 위기론이 부각되고 있고 이를 지키기 위한 또 다른 이들의 노력 또한 강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많은 분들이 함께 접하며 판단해 봤으면 하는 책이다.

<민주주의 위기> 또한 민주주의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는 권위주의나 독재에 대해서도 함께 판단해 볼 수 있고 대표적인 사례로는 미국과 중국의 서로 다른 정치체제와 제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의 경우에도 조금 특이하지만 북한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이는 이념 갈등이나 대립적 상황이 과거의 역사에만 매몰된 것이 아닌 현재진행형이라는 점도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국가의 존재나 국민의 권익이나 자유, 이를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만 민주주의를 바라보기보단 현실에서는 어떤 형태의 공감이나 변화된 인식 등이 필요한지도 함께 접하며 생각해 보자.





접하는 이들의 수준이나 관점론에 따라서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 책이지만 누구나 공감하는 당연한 질서로 볼 수 있는 민주주의적 체제나 가치, 하지만 이런 현상적 요인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또 다른 형태의 위기나 위험적 요소가 공존하고 있다는 점도 확실히 체감할 수 있어서 이는 단순한 정치학 가이드북이 아닌 우리의 현실을 생각하게 하는 책이라는 점에서도 긍정의 의미를 가질 것이다. <민주주의 위기> 양극단의 사고나 부정적인 마인드로만 해석하기보단 어떤 형태의 또 다른 위기관리나 기회적인 요소가 공존하고 있는지도 함께 접하며 생각해 보게 된다.

<민주주의 위기> 물론 개인마다 서로 다른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책에서는 보편적 가치와 정서를 통해 민주주의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과 미국식 민주주의와 한국식 민주주의에 대한 비교, 평가, 판단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국제관계를 비롯해 세계질서, 패권, 사회사상 등에 대해서도 과거의 역사적 사례나 현재적 관점에서도 모두 접하며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도 책이 갖는 긍정적 의미가 잘 표현된 가이드북일 것이다. 제법 어려울 수 있는 현실 주제인 민주주의, 어떤 형태로 배우며 판단해 나가야 하는지, 함께 접하며 활용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