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소년범을 변호했을까 - 우리 사회에서 낙인찍힌 그들을 위한 변론,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김광민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시기를 막론하고 항상 우리 사회는 다양한 문제와 갈등 등을 겪었고, 이로 인한 비용적 낭비, 혹은 사람 간의 불신 등의 현상을 체감하며 살아가고 있다. 지금도 범죄와 관련된 다양한 사건 사고는 끊이질 않고 어떤 형태로 마주하며 해당 사안과 문제에 대해 돌아보거나 더 나은 형태의 가치 판단을 해야 하는지, 책의 저자는 이 점에 대해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다. 특히 갈수록 심해지는 청소년 범죄나 관련된 폭력 문제, 혹은 성범죄나 그루밍 성범죄, 그리고 아동 학대나 성범죄 등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우리가 일정한 관심과 공감대 형성을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나는 왜 청소년을 변호했을까> 물론 일각에서는 예전에도 존재했고,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사회라는 공간에서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현상 정도로도 평가할 것이다. 다만 갈수록 진화하는 범죄의 유형이나 시대적인 특성으로 인해 정보와 지식을 누구나 쉽게 접근하며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해당 사안에 대한 심각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지력은 절대적인 기준일 것이다. 최근에 발생하는 소년범 문제나 청소년 범죄만 보더라도 예전과는 전혀 다른 결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도 많은 이들이 현실적인 문제로 마주하며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최근에 불거진 학폭 사태를 보더라도, 가해자는 너무 당연하게 살지만 피해자의 경우에는 극단적 선택을 하거나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며 피폐해진 삶을 살아가는 모습에서 우리 어른들이 어떤 형태의 관리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하는지, 이에 대한 진지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 <나는 왜 소년범을 변호했을까> 책에서도 해당 사안과 주제에 대한 민감성이 존재하나, 반드시 알아야 한다는 대승적 차원의 접근을 통해 소년범 관련 주제와 사건들에 대해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다. 또한 어른들의 역할이나 책임, 진정한 의미로 우리 모두가 해야 하는 생각이나 판단의 기준, 이어지는 행동력 등에는 어떤 방식과 방향성 등이 있는지를 함께 표현해 주고 있어서 누구나 쉽게 읽으며 공감해 볼 수 있다는 점도 이 책이 갖는 특장점으로 볼 수 있다.

가볍다면 가볍고, 무겁다면 한없이 무거운 주제로도 볼 수 있지만 범죄에 대해선 더 이상의 관대함보다는 죄의 무거움을 느끼게 하거나 범과 사회적인 관점에서도 또 다른 피해자를 낳거나 변질된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많은 이들이 책에서 언급되는 사안과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 보길 바란다. <나는 왜 소년범을 변호했을까> 책을 통해 우리 모두가 가해자이자,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해당 도서를 접했으면 한다. 다소 무거운 느낌을 주지만 반드시 알아야 하는 문제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형태의 논리가 돋보이는 해당 도서를 통해 많은 이들이 접하며 더 나은 형태의 가치 판단을 해봤으면 한다. 범죄 심리학의 현실을 고발하며 더 나은 대안책 마련을 위한 가이드라인 또한 함께 제공해 주고 있어서 배울 점이 많은 책이다. 읽고 접하며 판단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