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교육 - 행복한 미래 학교,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최우성 지음 / 성안당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새로운 트렌드나 가치의 등장, 그리고 기존의 질서나 어떤 대상을 성장, 또는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과 관리법으로 교육은 늘 중심에 있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교육이나 배움의 중요성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쩌면 우리의 교육은 조금 특별했고 단기간의 성장이나 성적 위주의 인재양성 등 정부의 정책적 기조나 사람들이 현실에서 느끼는 교육방식이나 환경 등을 바탕으로 지금과 같은 모습을 이뤘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이나 부정적인 결과 또한 함께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마주해 볼 필요가 있다.

<미래 교육> 책에서도 이런 가치를 바탕으로 교육 분야나 제도, 또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어떤 변화상이 일어나야 하는지, 그리고 각 주체라고 볼 수 있는 교사나 학부모, 학생들의 경우에는 지금의 교육환경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등을 표현하고 있다. 물론 정부 주도의 정책변화도 중요하나, 일선의 현장에서 체감하는 사람들의 현실적인 고충과 대화 등을 통해 더 나은 형태의 교육관에 대해 나아갈 필요가 있다. 책에서도 이런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교육과 학교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으며 실제 공부하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어떤 자세를 바탕으로 배움의 가치를 접하고 있는지도 함께 고려해 봐야 한다.














물론 공부를 잘하는 것도 중요하며 더 나은 사람, 인재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이자 수단이 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급변하는 세상에 맞는 인재, 그리고 미래가치를 고려한 직업선택이나 진로탐색 등의 행위가 현실적으로 이뤄지며 교사나 학부모, 학생 등 모두가 만족하는 형태로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가장 보수적인 분야로도 볼 수 있는 교육 분야의 현실성이나 환경적 요인, 미래교육의 가치를 주장하나, 현실적으로 어떤 한계점이나 개선책 등이 필요한지도 책을 통해 일정 부분 배우거나 가늠해 볼 수 있다.

<미래 교육> 특히 코로나 팬데믹의 시기를 거치면서 많은 이들이 온라인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나, 실제 현장에서는 그래도 대면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갈등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적절한 균형점과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더 나은 형태의 교육관과 제도가 무엇인지, 이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며 더 나은 가치 판단을 해야 할 것이다. <미래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느끼는 부분이나 공부하는 학생들의 입장, 그리고 학부모의 솔직한 의견까지, 책을 통해 종합적인 관점에서 배우며 우리가 마주하거나 그려야 할 미래 교육이 무엇인지, 그 의미에 대해 판단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