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종식을 위한 프로그램 - 인지기능을 향상, 회복시킬 수 있는 최초의 프로토콜
데일 브레드슨 지음, 권승원 외 옮김 / 청홍(지상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시대변화상 만큼이나 우리에게 현실적으로 중요한 부분이 바로 제대로 된 건강정보와 관리법일 것이다. 이 책도 이런 현실적인 부분을 바탕으로 미리 대응할 수 있는 방법과 어떤 형태로 건강관리를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 종식을 위한 프로그램> 해당 도서를 접할 경우 많은 분들이 오해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책에서 언급되는 중풍이나 치매의 경우 노년성 질환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겠지만 최근의 흐름이나 질병 발생의 원인, 또는 해당 질병을 경험한 분들의 사례를 보더라도 이는 나이나 성별과는 무관한 흐름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체감하게 된다.

책에서도 중풍이나 치매 등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의 중요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으며 해당 질병의 경우 환자 본인에게도 치명적인 결과나 부정적인 영향력을 제공하지만 주변의 가족이나 지인들에게도 고통을 준다는 점에서 또 다른 사회현상이나 문제 등으로도 인식해 볼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 종식을 위한 프로그램>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의 관리법이나 대응전략이 중요한지, 책을 통해 배워볼 필요가 있다. 책에서는 우리 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개요, 영양소의 공급이나 건강식, 그리고 생활습관이나 건강식품 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고 있다.

















특히 먹는 음식에 대한 자세한 정보소개를 통해 미리 예방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과 해당 질병이 발생할 경우 어떤 형태로 매뉴얼 구성이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하는지도 비교적 쉽게 소개하고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물론 예방관리를 한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막을 수 있는 질병은 아니지만 이게 체질적, 유전적 요인과는 어떻게 기인하며 책에서 강조하는 인지기능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배우며 스스로를 위한 건강정보 및 관리 가이드북으로 사용해 볼 수 있다. 또한 국가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분들도 있고 해당 분야의 전문가나 종사자들의 경우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입장 차이가 약간은 존재한다는 점 또한 함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알츠하이머병 종식을 위한 프로그램> 책을 통해 무조건 막을 수 있다의 개념이 아닌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질병관리 및 예방관리 차원에서의 접근이나 의학이나 한의학과의 연동성, 상호작용 등에 대해서도 함께 판단해 볼 수 있어서 현실적인 건강 가이드라인을 배워볼 수 있다. 여전히 그 해법이 모호하며 어렵게만 느껴지는 중풍 및 치매에 대한 접근법, 그리고 더 나은 삶의 행복이나 구체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개인들은 어떤 형태로 이해하며 관리해 나가야 하는지도 책을 통해 배우며 활용해 보자. 어떤 의미에서는 생활과학적 요소가 돋보이는 책으로도 볼 수 있는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언급과 조언서, 스스로를 위한 건강정보 및 관리 가이드북으로 사용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