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이라는 가능성 - 나의 세상을 확장하는 낯선 만남들에 대하여
윌 버킹엄 지음, 김하현 옮김 / 어크로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인이라는 가능성> 이 책은 어떤 의미에서는 매우 원론적인 부분에 대한 진단과 평가를 보이는 느낌이며 또 다른 의미에서는 다소 어렵고 복잡한 인간의 역사와 철학적 사고에 대해 종합적으로 접근하며 새로운 가치로 분석해 내고 있는 느낌을 주는 책이다. 특히 인간 자체에 대한 평가와 누구나 공감할 만한 주제를 바탕으로 인류의 변천사, 변화상 등에 대해 접근하고 있다는 점은 제법 인상깊게 다가오는 대목이다. 또한 사회가 갈수록 복잡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그속에서 살아가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경우 어떤 형태로 삶을 영위하거나 더 나은 만족이나 가치관 등을 얻어야 하는지, 그 의미에 대해서도 비교하며 판단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괜찮은 메시지를 전한다.


항상 우리는 타인에 대한 경계심, 불신적인 평가나 태도를 바탕으로 마주하게 된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서 또는 해당 사람에 대해 경험하게 되면서 부정적인 편견에서 벗어나거나 긍정적인 평가로의 자세를 바꾸는 등의 행위를 통해 사람에 대해 알아가려 하지만,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절대 모른다는 말이 존재하듯이, 사람 자체에 대한 공포나 불신, 배신당할 수 있다는 등의 평가가 요즘처럼 자주 언급되는 것도 크게 이상한 일은 아닐 것이다. 왜 이런 타인이나 상대방에 대한 불신 및 공포적 사고가 팽배해졌는지, 나도 당할 수 있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평가, 사람 자체에 대한 경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점과 불신이 만연하게 될 경우 잃을 수 있는 가치는 또 무엇인지, 책을 통해 읽으며 판단해 보게 된다.


<타인이라는 가능성> 그래도 인문학적 가치나 시대변화상과는 다르게 불변의 영역으로 평가받으며 사람관계에서의 소통이나 공감능력을 갖춰야 많은 영역에서 도움을 주고 받으며 성장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도 존재한다. 아무리 디지털 사회, 기술역량의 강화나 활용방안이 확대되어도, 결국 인간이 많은 영역에서 절대적 가치나 상징적 존재로 있을 거란 의미에는 누구나 공감, 또는 동의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래도 우리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며 생각해 보는 연습, 역사나 철학의 과정을 통해 어떤 인간상에 대한 대응과 평가를 통해 더 나은 가치로 선택해 볼 수 있는지, 책에서는 이 의미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한다.


초연결 사회의 구현, 절대적인 사람과 인재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도, 이에 대해 일반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나 철학적인 평가 및 사고를 통한 더 나은 분석과 평가론, 책을 통해 확실히 마주하게 되는 가치이자 정신일 것이다. 여전히 사회는 급변하며 사람들 또한 나름의 이권이나 자신을 위해 많은 것을 투자하거나 몰입하며 살아가는 모습이다. 다소 어렵고 복잡한 인간관계에 대한 낮은 단계의 접근도 좋고, 미래가치를 바탕으로 접근하는 법, 또는 과거의 사례나 철학적 의미부여나 평가를 통해 인간의 본능이나 욕망, 자연스러운 부분이라 평가받는 영역에 대해 어떻게 더 나은 생각을 해 볼 것인지, 책을 통해 읽으며 판단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